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중국 시장에 대한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새 정부에서 중국과 관계를 재정립하고 상생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15년 중국 내수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한 이후 이렇다 할 중국 관련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내수시장 공략도 한반도 사드배치 등이 겹치며 냉기류가 흐르며 흐지부지 됐다. 정부가 중국 전략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사이, 중국은 제조업 분야에서 우리나라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뒀다.
중국은 ‘제조 2025’를 통해 3차 산업 발전에 가속이 붙은 상태다. 중국 당국은 앞으로도 R&D 투자와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고삐를 죄고 있다.
특히 차세대 산업은 인터넷과 융합기술 발전 여건이 개선된 가운데 자체 시장이 기술혁신 촉매제로 작용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인터넷 보급과 관련한 전자상거래 급증에 힘입어 디지털 경제규모는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연속 두 자릿수로 성장했다. 지난해는 미국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며 성장세가 뚜렷해졌다.
또 드론은 전세계 점유율이 94%를 차지할 정도로 독보적이다. 이중 60% 내외는 자국시장이 소화하는 상황이다. 드론 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대형 항공기도 최근 제작과 시험비행에 성공해 오는 2020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고부가 산업에 눈을 돌린 만큼 우리 정부도 중국 전략을 신중하게 짜야 한다고 조언한다. 실제로 지난 2012년 이후 중국 수출에 대한 우리나라 수출 및 대중 수출 탄력성은 크게 하락했다. 이는 한‧중 수출이 ‘보완’에서 ‘경쟁’ 관계로 전환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또 지난해 우리 10대 수출 품목 중 6대 품목이 중국과 중복되고, 이들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4.1%로 중국(53.8%)보다 높아 경합 시 우리 피해가 더 크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이 분석한 전자‧기계‧석유화학 등 3대 수출 품목의 한‧중간 기술격차를 보면 2008년 2.9년에서 2014년 1.3년으로 축소됐다. 이 상태를 유지하면 오는 2020년이면 동등 수준(0.3)에 도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에 따라 중국과 경제 관계도 제조국 이미지에서 벗어나 경쟁국으로 수정해 전략을 짜야 한다는 지적이다. 중국 대체시장 확보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만큼 대중 수출‧진출 전략을 중국 내수구조 변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수정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중국팀장은 “대중국 수출 품목 고급화와 함께 제조업에 집중된 중국 진출을 실버, 의료, 환경 등 서비스업으로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며 “도시화 및 일대일로와 연결된 중국과 아시아 인프라 시장에 참여하고 정부가 협력을 통해 무형의 장벽을 극복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