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석유선 기자 = “고용이 최고의 복지··· 향후 5년간 7만개 일자리 창출, 40조원 투자”(신동빈 롯데 회장),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가장 우선은 양질의 일자리··· 올해 1만5000명 이상 고용”(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J노믹스의 최대 역점 사안인 ‘일자리 창출’ 정책 기조에 부응하기 위해 유통 대기업들이 경쟁하듯 신규 채용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공언하고 있다.
현재 롯데그룹 9개 상장사의 비정규직은 3251명으로 전체(4만8548명)의 약 6.7% 수준이나, 비상장사와 일부 무기계약직을 포함해 처우개선 대상을 1만명으로 잡았다. 유통 5000명, 식품 3000명, 금융·기타 계열사 2000명이 해당되며, 유통 계열사 가운데 롯데백화점·롯데슈퍼 등의 계산원·파트타이머·대면직 등이 주요 대상이다.
신세계는 2015년 1만4000명, 2016년 1만5000여명을 고용한 데 이어 올해는 작년보다 더 많은 고용을 약속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도 다른 업체 대비 낮은 비율로 자부심이 크다. 정용진 부회장은 지난달 31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채용박람회에서 “비정규직을 없애기 위해 10여년을 노력해 타 업체보다 확실히 (비정규직 비율이) 적다”면서 지속적인 정규직 확대를 강조했다.
현대백화점그룹도 지난해 약 2500명을 채용한 것보다 다소 확대해 올해는 2600명을 채용하는 한편 정규직 전환 추세에도 부응할 방침이다.
CJ그룹 또한 이재현 회장의 4년 만의 경영 복귀를 기점으로 기업문화혁신방안을 발표하고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유연근무제, 자녀입학 돌봄 휴가, 해외연수 기회 등을 도입했다.
이랜드파크의 임금 체불 홍역을 치렀던 이랜드그룹도 5일 △퇴근 후 업무 차단 △2주 휴식 의무화∙전 직원 리프레시 제도 △배우자 2주 유급 출산 휴가 등 ‘조직 문화 7대 혁신안’을 발표하며 일·가정 양립과 질 좋은 일자리 창출 기업 대열에 합류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골목상권 활성화, 대형쇼핑몰 등 규제 강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단 취임 초기 J노믹스에 적극 화답해 소위 밉보이지 않겠다는 전략이란 분석도 나온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발 악재가 여전하고 내수 침체 등 사업 환경은 어려워지는 가운데 정부의 규제가 더해지면서, 고스란히 기업의 부담이 되는 고용 창출과 정규직 전환이 제대로 이뤄질지는 두고 볼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상공인·자영업자 보호를 강조한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창출 요구에 가장 화답하고 있는 업계가 아이러니하게도 대형 유통업계”라며 “의무휴업일 확대, 대형점포 신규 출점 규제 등이 고용에 앞장서는 업계의 발목을 잡는 것은 아닐지 우려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