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 오염 가속화... 종합 수질개선, 생태복원 한목소리

2017-06-01 09:49
  • 글자크기 설정

영산강 승촌보 인근에 서식하고 있는 큰빗이끼벌레 [사진=광주환경운동연합 제공]


아주경제(무안) 장봉현 기자 = 4대강 녹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농업용수 이용에 지장 없는 수준에서 6개 보 상시 개방하는 가운데 광주·전남 생명의 젖줄인 영산강은 녹조발생 일수가 해마다 증가하는 등 오염이 가속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을 살리기 위해선 정부에만 맡기지 말고 지자체와 학계, 환경단체 등이 참여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종합적인 수질개선과 생태복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일 전남도에 따르면 영산강 수계의 녹조발생이 2014년 3회 12일에서, 2015년 4회 52일, 지난해 4회 99일로 최근 3년간 발생 일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영산강물환경연구소는 매주 1회 시료를 채취해 분석, 기준 초과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단계별 수질예보를 발령하는 등 녹조발생 모니터링을 해오고 있다.

모니터링 결과 녹조 발생 수질지표인 클로로필a 농도도 대폭 증가해 승촌보, 죽산보 구간의 고농도 녹조 발생이 빈번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4대강 사업을 전후해 승촌보와 죽산보 설치에 따른 물흐름 정체로 클로로필-a가 25.8㎎/㎥에서 67.7㎎/㎥로 대폭 증가했다.

특히 4대강 사업 이후인 지난해 퇴적토에서는 유해 중금속의 수치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촌보 구간에서는 구리가 0.127㎎/㎏에서 44.7㎎/㎏으로 342배, 납은 4㎎/㎏에서 37.3㎎/㎏으로 9.1배 가까이 증가했다. 죽산보 구간에도 카드뮴이 0.063㎎/㎏에서 0.33㎎/㎏으로 5.2배, 납은 1.0㎎/㎏에서 30.6㎎/㎏으로 29.6배 늘었다.

비소의 경우 4대강 사업 이전에는 검출이 안됐지만 지난해 조사에서는 '심각한 오염' 수준에 달하는 수치가 나왔다. 때문에 전남도, 전남도의회를 비롯한 시민단체들은 종합적인 영산강 관리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김탁 전남도의회 의원은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정부가 정책감사를 통해 내년까지 처리방안을 확정할 계획이지만 정부에만 맡기지 말고 해수 유통, 보 철거, 수문개방 등 영향을 분석해 종합적인 영산강 관리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주변 시·군이 참여하는 영산강 유역 행정협의회, 수계관리위원회 등 역할 분담 방안을 정립하고 학계, 환경단체, 도의회 등이 참여하는 영산강 살리기 시·도민 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도 실·국, 영산강 주변 시·군, 수계관리위원회도 함께 선제적으로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도 성명을 통해 "승촌보와 죽산보 해체, 하구둑 해수 유통을 통해 장기적 영산강 복원 플랜을 수립할 것을 희망한다"며 "보를 해체하고 복원 방향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도는 "영산강 보 건설에 따른 물 흐름의 정체 등으로 수질이 좋지 않다"면서 "영산강 관련 수자원활용과 수질개선 종합대책 등이 정부정책에 적극 반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