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시대] 외신 "문 대통령 한국 민주화 역사의 표본"…대북정책 변화에 촉각

2017-05-10 11:32
  • 글자크기 설정

"대북관계에서 주도권 회복해야" 지적…국내의 실업문제 해결이 큰 과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이 당 관계자들과 지난 9일 오후 서울 세종로공원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윤은숙 기자 =지난 9일 대선 결과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과 관련해 외신 보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서구 언론들은 대북 정책의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주요 당사국 중 하나인 미국은 한국 새 정부의 새로운 정책이 트럼프 정부 정책 방향과 엇박자를 낼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 "대북정책에서 주도권 찾는 게 급선무"··· "미국의 이익에 덜 우호적일 수도"
미국의 대표적 보수 언론인 폭스 뉴스는 "한국의 새로운 진보 대통령은 미국과 한국의 관계를 긴장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문 대통령을 북한과의 대화에 더욱 초점을 두는 인물로 소개했다.

제임스 퍼슨 윌슨센터 한국역사·공공정책 센터소장은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한) 압박과 대화는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하면서 "중요한 것은 미국과 한국이 함께 북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내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퍼슨 소장은 "그동안 뒷자리에 빠져 있던 한국이 하루빨리 제자리로 돌아가서 대북 정책 결정의 주축 중 하나를 차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경제 전문 채널인 CNBC는 "한국의 새 대통령은 미국의 이익에 덜 우호적일 수 있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 비용 부담, 무역 협정 재협상 등으로 갈등을 겪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센터의 선임연구원인 이삭 스톤 피시는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은 미국이 북한을 고립시키는 것을 힘들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한국 정부로부터 필요한 것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할 경우 북한 지도자인 김정은 위원장에게 건넨 트럼프의 대화 제안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CNN과 뉴욕타임스 역시 "(새 정부의) 대북 정책은 강경 정책으로 일관했던 기존 정권과는 다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진단하면서 남북대화, 이산가족 상봉, 경제교류 재개 등이 현실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외교안보 전문매체인 디플로매트는 "문 대통령이 이전 정부보다 북한에 유화적인 정책을 취할 것으로 보이지만 1998년과 2008년 사이의 햇볕정책으로 되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BBC "문대통령 일대기 한국 민주화운동의 전형"·· ·일자리·경제 불평등 해결 급선무 

존 닐슨 라이트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 채텀하우스의 디렉터는 BBC에 보낸 기고문에서 "문 대통령의 인생은 한국의 민주화를 이뤄낸 진보 정치와 시민운동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박정희 독재정권에 맞섰던 학생운동 이력, 인권 변호사로서의 활동 등을 자세히 소개했다. 

닐슨 라이터 역시 새 정부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가 대북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좌파들은 반미정서가 강한 편이지만 이전 정부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문 대통령은 미국과의 극단적인 대립은 피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새 대통령이 실용적이며 경험이 있는 정치인이라는 평가는 그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박 전 대통령의 탄핵 뒤 바로 집권하게 되면서 전 정부 인사들과 함께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은 큰 도전이 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영국 매체인 파이낸셜타임스(FT)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력을 자세히 소개하면서 "한국의 혼란 뒤 안정을 책임질 인물"이라고 소개하면서 "경제 문제는 물론 정치적 개혁이 가장 큰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알자지라 방송은 "한국의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로 부각됐던 것 중 하나는 사회를 좀 더 공정하게 만드는 것이었으며, 경제적 불평등과 실업문제 해결도 급선무로 지적됐다"고 전했다. 방송은 또 문 대통령은 유세 기간 1만2000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면서 최근 한국의 젊은이들은 안정을 위해 공무원직을 선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