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대통령은 더 이상 특정 정당의 이익을 대표하는 대통령이 아니다. 새 대통령은 정파, 지역, 이념, 계층, 빈부를 넘어 국민 모두의 대통령임을 깊게 인식하고 거기에 맞는 국정운영방식을 찾는 게 중요하다.
당면한 안보·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치적인 통합이 필요한 만큼, 중도실용의 공화주의적 국정운영방식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새 대통령은 정부 출범과 동시에 국회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해 야당의 견제를 받는 ‘여소야대’ 국면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에 새 대통령은 적폐 청산은커녕 국무총리를 비롯한 각료 임명부터 핵심 공약 입안을 위한 법안 처리까지 사사건건 거대 야당에 견제를 받을 공산이 크다.
새 대통령의 국정운영은 사실상 취임 후 100일, 이른바 ‘골든타임’을 넘기면 동력을 상실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대통령과 입법부 간, 대통령과 의원 간, 대통령과 시민사회 간의 ‘협치(協治)'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새 대통령의 ‘협치’는 정파와 지역, 계층 등을 뛰어넘어 국민 모두의 역량을 최대한 결집하는 정부, 분권·자치·자율 등 민주주의 가치와 협력·포용·소통 등 공화주의 가치로 운영되는 정부가 되어야 한다.
새 대통령의 공화주의적 국정운영 방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당과 국회에서 의원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숙의민주주의가 제고돼야 한다.
그동안 당정관계와 대 국회관계에서 관행화된 일방적이고 제왕적인 국정운영과 절연해야 한다. 그 절연의 핵심은 ‘여야 동시 오픈 프라이머리’를 법제화하고, 계파정치에 포획된 파당적 정당구조를 공화주의적 운영원리가 작동되는 ‘시민참여형 네트워크 정당’으로 혁신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