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통계청에 따르면 25∼49세 경제활동인구는 올해 1분기(1∼3월) 기준 1천924만1천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4% 줄었다.
전체 경제활동인구(4천363만3천명) 중에서 그 비율은 44.1%였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99년 3분기 이래 가장 작은 것이다.
핵심생산가능인구는 2001년 1분기∼2001년 4분기 내내 54.4%로 최고점을 찍고서 저출산·고령화 진행과 발맞춰 서서히 하강 곡선을 그렸다.
25∼29세 인구는 1999년 3분기 435만6천명에서 올해 1분기 340만2천명으로 21.9%, 30대는 846만4천명에서 751만2천명으로 11.3% 각각 줄었다.
40대(659만2천명→832만7천명)만 26.3% 늘었을 뿐이다.
이 기간에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는 3천581만4천명에서 4천363만3천명으로 21.8% 증가했다.
취업자 중 25∼49세 비율도 뚝뚝 떨어지고 있다.
올해 1분기 전체 취업자(2천591만5천명) 가운데 25∼49세(1천449만8천명)는 55.9%였다.
이 비율은 2000년 1분기 67.9%로 70%에 육박했으나 2012년 2분기 59.3%로 1979년 이후 처음으로 50%대로 내려앉은 뒤 작년 3분기 55.2%로 저점을 찍었다.
25∼49세는 전 생애에서 경제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다.
생산성이 가장 높기도 하고 소비 활동도 가장 많다.
이 연령대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노동력 측면에선 생산성이 떨어지고 소비 측면에선 내수 여력이 약해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잠재성장력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산업연구원은 핵심생산가능인구를 포함해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이 0.1%포인트 줄면 국내총생산(GDP)이 0.3%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연구원은 "저출산, 고령화가 경제·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 정책적 대응을 강화하고 의료·노동·혁신·조세 분야 등 모든 분야에서 정부 차원의 제도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porque@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