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투수에서 계륵으로…적자 늪에 빠진 '친환경' LNG발전

2017-04-03 16:12
  •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주요 민간 LNG발전사 7곳 중 5곳이 적자

전기사업법 개정…전력구매 시 경제성에 환경·안전 고려하기로

'석탄 환영' 정부·공기업에 '친환경' 민간 목소리 반영정도 관심

아주경제 현상철 기자 =블랙아웃 위기 극복의 구원투수로 등판했던 LNG복합발전이 최근 계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친환경'으로 분류되는 LNG발전에 투자했던 민간은 매년 수백 억 원의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을 겪으며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2011년 이후 점차 전력공급이 안정화되자 가격은 저렴하지만 미세먼지 등 환경성이 떨어지는 석탄화력발전에 밀려 발전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구매 시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하는 내용의 전기사업법이 개정돼 친환경 발전업계는 다소 숨통이 트인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석탄발전 중심의 발전공기업과 저렴하게 전기를 사들이기를 원하는 정부-민간이 중심인 신재생에너지와 LNG발전사들 간 '매출실적'이 걸린 줄다리기에서 민간의 목소리가 얼마나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적자에 허덕이는 민간발전사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민간 LNG발전사 7곳 중 5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동두천드림파워와 에스파워는 2015년 각각 103억원, 57억원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279억원, 14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재작년 130억원, 184억원 적자를 본 포천파워, 평택에너지서비스도 지난해 444억원, 261억원으로 당기순손실이 이어졌다.

2015년 188억원 흑자를 본 포스코에너지는 지난해 1354억원 당기순손실을 보면서 적자로 전환됐다.

SK E&S는 지난해 적자를 보지 않았지만, 영업이익이 90% 넘게 쪼그라들었다. 한전과 전력수급계약(PPA)을 통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전력을 생산한 GS EPS만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이를 좀 더 들여다보면 민간이 어려움을 겪게 된 사정은 다른 곳에 있다.

전력 도매시장 구조는 가격이 낮은 발전원부터 사들이는 구조다. 석탄화력발전이나 원전이 우선 구매대상이고, 이후 전력사용이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LNG발전을 가동하게 된다.

그러나 2011년 블랙아웃을 겪었던 정부가 전력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민간의 발전업 진입을 대거 허용했지만 수급전망을 과도하게 한 탓에 공급과잉을 불러왔다.

전기사용이 정부의 예측만큼 크게 늘어나지 않으니 LNG발전소가 가동되는 일이 적어졌고, 그만큼 경영사정은 날로 악화되고 있다. 정부의 장단에 맞춰 LNG발전에 뛰어든 민간만 피해를 고스란히 받고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올해 석탄화력발전(5.3GW)과 원전(1.4GW)이 추가로 전력시장에 들어오면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마저 낮아진 상황이다.

◇경제성과 함께 환경·안전도 고려 기준…민간 목소리 반영정도가 관건
지난달 23일 전기판매업자가 전력구매 시 경제성·환경·국민안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 내용의 전기사업법 개정안이 공포됐다. 환경이나 국민안전 등의 의무가 새롭게 생기게 되면서 사실상 미세먼지나 온실가스를 뿜는 석탄화력발전 가동이 지금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앞으로 전력시장에서 제도를 운영할 때 환경이나 국민안전 등을 고려하도록 바꿔나간다는 방침이다. 단순히 낮은 가격의 전력을 구매하지 않고, 미세먼지나 온실가스를 과도하게 배출하는 발전소가 생산한 전기를 적게 사들이겠다는 뜻이다.

각 발전사들의 실적이 좌우되는 만큼 경제성·환경·안전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데 민간 등과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올해 하반기에 발표될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이러한 내용을 담을 예정이다.

다만, 석탄발전이 주를 이루는 공기업과 민간이 대부분인 LNG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간 '매출'을 건 줄다리기에서 민간의 목소리가 얼마나 반영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공급과잉인 발전업계에서 정부 방침에 따라 신재생발전은 확대되고, 석탄화력발전소와 원전이 추가로 증설될 예정"이라며 "정부와 공기업을 상대로 민간이 얼마나 자신들의 의견을 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