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의원들 요구해도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 신청 학교 명단 못 준다”

2017-03-07 09:42
  • 글자크기 설정

학교 이름 비공개 방침 고수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 신청 학교 명단을 국회의원들의 공개 요구에도 제출하지 않을 방침이다.

7일 교육부에 따르면 국회 요구가 있더라도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 신청 학교 명단을 공개하지 않을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교의 안정적인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을 위해 의원들이 요구하더라도 양해를 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국정 역사교과서를 활용하겠다고 신청한 학교 중 보조교재로 쓰겠다고 신청한 학교가 몇 곳인지에 대해서도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들이 신청하는 경우 제대로 활용 용도를 밝히지 않았다고 교육부는 설명하고 있다.

신청서에 활용 용도를 기입한 학교가 있는가 하면 표기를 명확하게 하지 않은 곳도 많다는 것이다.

교육부가 100권 넘게 신청한 학교만을 따로 분류해 공개한 것도 이같은 이유 때문이다.

교육부에 따르면 100권 넘게 신청한 학교는 9곳으로 모두 사립학교이고 한 곳은 중학교였다.

이 중 1학년 정원을 넘는 권수를 신청한 학교는 중학교 1곳과 고등학교 3곳이다.

이들 4개 학교가 보조교재로 활용할 의도로 신청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가장 많은 350권을 신청한 학교는 서울디지텍고로 추정되고 있다.

15일 이후 서울디지텍고의 역사 수업에서 국정 역사교과서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경우 연구학교로 지정된 문명고와 같은 학생, 학부모의 반발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교육부는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을 방해하는 행위에는 엄중한 대응을 하고 학교측을 보호하겠다고 밝혀 교과서 활용을 놓고 찬반 양측의 갈등이 커질 수도 있다.

교육부의 비공개 방침에도 불구하고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에 반대하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활용 신청 학교 파악에 나서고 학교에서 학교운영위원회 등 절차를 제대로 거쳐 쓰는지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신성호 전교조 참교육실장은 “국정 역사교과서 활용 신청 학교들에 대해 우선 대거 신청한 곳부터 파악에 나설 것”이라며 “제대로 학운위 등 절차를 거쳐 활용을 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인 문명고의 지정 철회를 요구하고 있는 대책위는 앞으로 대규모 시위 등을 마련해 반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문명고 대책위 관계자는 “이 사태가 단순히 문명고의 문제만은 아니라고 보고 대규모 시위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