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학교 지정 허용 방침을 밝힌 지역은 대구, 경북, 울산, 대전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도 9일 현재까지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지정 신청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3개 지역은 교육감들이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지정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고 이 중 8개 지역은 교육부의 지정 공문조차 학교로 전달하지 않았다.
교육감에 연구학교 지정 권한이 있기 때문이다.
일선 학교들이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지정 신청을 꺼리면서 교육부가 신청 기한을 10일에서 15일까지로 연기하고 지정 기한도 15일에서 17일로 연기했지만 학교들이 신청에 나서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연구학교 지정 허용 지역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학교들이 말이 나올까 우려해 연구학교 지정 신청을 꺼리고 있다”며 “신청 기간을 연기해도 달라지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허용 지역의 교육청 관계자는 “한달 정도의 기간을 충분히 주고 신청을 받은 것인데 문의도 한 곳 없다”며 “신청기간을 연장했는데 시간이 부족해 학교들이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라고 하기도 했다.
경북 지역의 소수 학교에서만 연구학교 신청 관련 문의가 있는 등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울산 삼남중학교의 경우에는 교사들의 의견 수렴 과정에서 연구학교 지정 신청을 하려다 혼란을 우려해 재논의를 거쳐 방침을 바꾸고 운영위원회에 상정하지 않았다.
교육부에 따르면 국립대 부설학교도 아직 교육부에 지정 신청을 한 곳은 없다.
연구학교 지정 신청 대상인 국립대 부설학교는 20곳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개학을 하는 국립대 부설학교들이 연구학교 지정 신청을 위해 논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의 압력에 신청이 무산된 곳도 있는데 소수가 신청을 하더라도 연구학교를 예정대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정 신청 공문을 보내지 않은 지역 교육청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며 “공문을 일선 학교로 보내지 않는 등 협조하지 않는 교육청에 대한 대응 방안은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