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중국때리기'…중국 전문가들 "전략적 침착함 유지하라"

2016-12-06 11:17
  • 글자크기 설정

"마지노선 시험" "고도의 노림수" 인민일보, 환구시보 등 관영언론 '트럼프 발언' 해석

트럼프 시대 대중정책의 풍향계…도발시 본때 보여줘야

환구시보 "미중관계 충돌은 피할수없어…초반에 승부 잡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중국 때리기’를 둘러싸고 중국 내부에서는 트럼프의 외교적 무지함이 아닌 중국을 시험해 보려는 고도의 노림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면서 이것이 트럼프 시대 미국의 대중정책을 보여주며 중국은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해외판은 자슈둥(賈秀東) 중국국제문제연구소 특별초빙 연구원이 쓴 망해루(望海樓) 칼럼을 통해 트럼프의 대 중국 발언은 미국의 '대중정책의 풍향계'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 연구원은 "트럼프의 발언은 그가 중국과 중미관계에 대해 '사실'만 알 뿐 '도리'는 모르는 것을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환율·무역·남중국해 문제 등에 대한 그의 중국에 대한 비난은 사실과 동떨어져있으며 그가 입으로 말하는 '도리' 역시 미중관계의 기본논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것.

자 연구원은 그러면서 미·중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중국은 우선 대화를 통해 트럼프에게 중국의 입장과 의견을 설명하는 한편 ‘전략적 신념’(定力)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트럼프가 중국을 시험해보기 위해 일부러 상식을 깨는 언행을 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 대해 중국이 본때를 보여주지 않으면 그가 중국을 '물러터진 홍시'쯤으로 여길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자신의 발전을 모색하는 한편 광범위하게 친구를 맺어 협력 상호윈윈을 통한 유리한 국제환경을 조성해 미국의 적의적, 제멋대로 선택을 통제해야 한다고 전했다.

자 연구원은 '뜬구름이 눈을 가려도 두렵지 않은 것은 내 몸이 가장 높은 층에 있기 때문'(不畏浮云遮望眼, 自緣身在最高層<불위부운차망안, 자연신재최고층>)이란 고시를 인용해 “트럼프 현상은 중·미관계에 변수를 더해 '뜬구름이 눈을 가린 것'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며 “미국 정권 교체, 중·미 관계의 과도기 시점에 중국은 높은 곳에서 멀리 바라보는 대국적 시각과 전략적 신념의 침착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콩 봉황망도 '미·중관계 마지노선 시험해보는 트럼프'라는 제목의 평론에서 트럼프의 무지해 보이는 발언은 고도의 노림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며 취임전 중국을 자극하거나 시험해 보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평론은 이는 미국의 대중정책을 보여주며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와 교류할 전략과 책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론은 트럼프의 비상식적 행동과 도발에 중국은 '노'라고 외쳐야 한다며 그것이 꼭 중·미관계의 정체나 도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새로운 역사적 시대에서 중·미관계을 새롭게 재정립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앞서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을 깨고 차이잉원 총통과 통화한 것에 대해 중국이 반발하자 4일 트위터를 통해 중국은 위안화 환율절하나 남중국해 군사시설 건설 문제를 미국과 상의한 적이 있냐며 맞받아치며 중국과 각을 세웠다. 

이에 대해 관영 환구시보는 6일자 사설에서 트럼프가 어떤 의도로든 중국의 이익을 침해한다면 절대로 주저하지 않고 보복에 나설 것이라며, 트럼프 당선 후 미·중 관계의 충돌은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심리적 준비와 대책을 충분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설은 우선 전열을 가다듬고 ‘전략적 신념’(定力)을 가짐과 동시에 미·중관계의 새로운 형세를 받아들이고 트럼프의 도발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중관계의 마지노선에 중점을 두고 어떤 투쟁의 방식으로 미·중 간 전략적 평형을 실현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 

사설은 트럼프가 취임하는 내년 1월 20일 이후 미·중관계가 요동칠 것에 대비해 충분한 준비를 해서 트럼프의 도발에 이성적이고 강력하게 투쟁하고 절대 그가 취임 초기 절대 우세를 차지할 수 없도록 해야 하며, 이것이 중국이 백악관의 미래 주인에 대해 취해야 할 단계적인 책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사설은 초반에 승부를 잡아야 앞으로 이어질 미·중 간 협상에서 확고한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