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세미나에서는 ‘PP 콘텐츠 가치,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를 부제로 정부, 연구기관, 학계, PP 업계 관계자들이 모두 모여 PP 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심도있게 논의했다. 특히 세미나에서는 경영학자가 고민한 PP 프로그램 수신료 산식이 새롭게 발표됐다.
김도훈 경희대학교 교수는 “그간 플랫폼과 PP사업자 간 프로그램사용료 대가 산정은 진화하는 미디어 산업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며 “IPTV 뿐만 아니라 OTT 등 다양한 경쟁 플랫폼 등장으로 유료방송의 수신료를 높이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러한 환경 요소를 고려해 플랫폼의 서비스 가치 중심 접근과 PP의 서비스 원가 중심 접근을 연계해 PP 수신료 배분율을 산출하는 산정방식을 제안했다. 기존에는 플랫폼 매출액을 기준으로 전년도 PP 프로그램 사용료 지급액 대비 인상률을 결정해왔는데, 이 산식을 활용할 경우 PP 프로그램 본연의 가치를 어느정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열악한 PP 산업 발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곽규태 호남대학교 교수는 PP산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비용 대비 수익 발생이 어려운 유료방송시장의 수익구조’를 지적했다. 지금과 같이 방송이 공짜상품으로 전락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콘텐츠 대가를 받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곽 교수는 PP 산업 육성을 위해 OECD 최하위인 유료방송의 저가 ARPU 구조를 먼저 개선해 채널 거래 시장을 안정화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방송콘텐츠 사용료 지급 기준을 마련해 명확한 대가 산정 방안을 제시해 줄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한편 이번 세미나에서는 미래부가 추진하는 유료방송발전방안 관련 프로그램사용료 산정기준 개편에 대한 사업자 의견도 나왔다.
하동근 PP협의회장은 “현재 정부에서 유료방송산업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상황은 환영할 일이나, 유료방송발전연구반에 PP사업자를 대변할 전문가 없이 PP프로그램사용료 산정 방향을 발표한 점은 아쉽다”며 “세미나에서 제시된 PP프로그램사용료 산정 방식을 통해 PP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PP 업계는 새로운 산정방식을 향후 플랫폼사들과 협의 및 논의를 거쳐 구체화시킬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