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국내 금융권도 시스템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공공거래 장부'로도 불리는 블록체인은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하나의 장부(블록)로 만들어진 개인의 금융거래 내역이 네트워크의 여러 컴퓨터에 분산 저장되는 구조다. 은행별로 장부를 관리하는 기존 틀을 깬 방식이다.
당초 비트코인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됐지만 최근에는 해외송금, 주식 거래, 무역 금융 등 여러 금융 서비스에서 활용성이 검토되고 있다.
이같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은행도 약 30%의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중앙 서버 및 보안 시스템 구축, 거래 절차·시간 단축 등의 효용을 고려한 수치다.
한수연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권은 현재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가장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며 관련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2월 기술 검증을 끝낸 KB국민은행을 비롯해 신한은행, KB국민카드 등이 블록체인 기술을 상용화 준비 중이거나 일부 서비스하고 있다.
신한은행이 지난 8월부터 골드바 구매 보증서를 종이가 아닌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보증서를 발급해 주고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 세계 최대 규모 블록체인 컨소시엄 'R3CEV'에 가입해 표준화 논의를 진행 중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최근 '금융권 공동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연내 출범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우선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기관의 안전성 등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을 제도권으로 편입시켜 활성화시킨다는 방침이다.
금융위 전자금융과 관계자는 "블록체인 기술 자체가 진화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여러가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며 "여기에 뒤쳐지지 않도록 민·관이 협력해 금융권 내 기술 상용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