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1만2717개였던 등록 주유소 수는 올해 7월 1만2633개로 감소했다. 반년 남짓한 사이에 84곳이 문을 닫았다.
최근에는 청주에서 주유소 2곳을 운영하던 일가족 4명이 주유소 경영난에 잇단 투자 실패 등으로 빚더미에 오르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주유소는 2010년까지 줄곧 증가했다. 1995년 주유소 간 거리 제한이 완전히 사라진 게 방아쇠 구실을 했다. 하지만 2010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2010년 1만3349곳이었던 전국의 등록 주유소는 2011년 1만3282곳, 2012년 1만3198곳, 2013년 1만3096곳, 2014년 1만2936곳, 2015년 1만2717곳으로 줄었다.
감소 폭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 기간 해마다 감소한 주유소 수는 67곳, 84곳, 102곳, 160곳, 219곳이었다. 주유소 경영 악화의 일차적 원인은 과잉 경쟁이다. 주유소 업계 안팎에서는 전국의 적정 주유소 수를 8000개 정도로 보고 있다. 지금도 4000개 이상이 공급 과잉 상태란 얘기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주유소는 기본적으로 박리다매의 구조"라며 "1000원어치 기름을 팔면 5원 정도 남기는 건데 자꾸만 경쟁이 심해지다 보니 그것조차 낮춰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처럼 경영이 악화돼도 쉽게 손을 털고 나올 수 없다는 점이다. 주유소는 큰 기름 탱크를 갖춰야 하기 때문에 주유소를 접을 때는 토양 오염을 정화해야 한다. 여기에 시설 철거비까지 합치면 주유소 한 곳당 폐업 비용이 평균 1억5000만원가량 되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러다 보니 이 비용을 마련하지 못해 영업과 휴업을 반복하는 주유소도 1000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주유소협회는 파악하고 있다. 여기에 폐업 신고를 못 한 채 사실상 문을 닫은 '유령 주유소'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제대로 영업 중인 주유소는 1만여곳인 셈이다.
주유소 업계는 주유소 폐업 때 정부가 재정적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주유소협회 관계자는 "망해서 문을 닫는 판에 1억5000만원이나 돈을 내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일본의 사례도 있듯이 폐업 때 정부가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경영 악화에 따른 폐업은 시장 영역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토지를 가진 주유소는 그 토지를 매각하거나 임대하면 폐업 비용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유소 사업자들이 공제조합을 설립해 이런 비용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도 마련해 뒀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