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우리나라 여성의 저임금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OECD에 따르면 2014년 여성 임금 근로자 중 임금 중위값의 ⅔ 미만을 받는 비중은 37.8%로 OECD 비교 가능한 22개국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아직도 다른 국가와의 격차는 컸다.
2014년 기준으로 한국의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OECD 국가 중 한국 다음으로 여성의 임금 사정이 열악한 아일랜드(31.0%)보다 6.8%포인트 높았다.
주요국과 비교해보면 차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미국은 29.54%, 영국 26.99%, 독일 25.94%, 일본 25.52%로 한국보다 적게는 약 8%포인트에서 많게는 12%포인트 넘게 낮았다.
여성 저임금 근로자 비율이 높아 남녀를 합친 한국의 전체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23.7%로 나타났다.
이 비중도 아일랜드(25.1%), 미국(24.93%)에 이어 OECD 국가 중 세번째로 높았다.
다만 남성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15.4%로 중위권인 11위였다. 미국(21.27%), 영국(16.03%)이 한국보다 높았고 독일(14.3%)과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저임금 근로자 비율이 높다는 점은 여성들이 임시·일용직, 단순노무직 등 불안정하고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음을 보여준다.
결혼과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이전보다 못한 일자리를 얻는 경우가 많은 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해 지난 4월 여성 일자리 대책을 발표하고 내년 세제 개편안에도 경력단절여성을 고용하는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담는 등 여성 일자리 대책에 공을 쏟고 있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여성 일자리 대책에 대해 "불안정한 단기 일자리 확충은 한계가 있다"며 "궁극적으로는 핵심연령층 여성, 특히 고학력 여성이 노동시장으로 유입돼 일자리를 유지하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는 제도적 환경조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