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와 북한 핵․미사일 위협을 둘러싸고 동북아 정세가 요동치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하는 동방경제포럼(EEF),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아세안 정상회의는 사드 해법과 대북공조 향방을 가늠할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이번 순방 계기에 한반도 주변 강대국인 미국, 중국, 러시아 정상과 릴레이 정상회담을 갖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2∼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EEF)에 참석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할 예정이며, 4∼5일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과 회담한다.
이렇게 되면 1주일 사이에 미·중·러․ 일 등 주요국 정상을 모두 만나는 것이다. 여기에 미중정상회담, 러일정상회담, 러중정상회담도 각각 개최된다.
이들 4개국은 모두 6자회담 참가국인 만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 발사로 엄중함이 커진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조를 모색해야 할 입장이기도 하다.
다만 사드를 둘러싸고 형성된 '한미' 대 '중러'의 갈등 전선이 당장 해소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G20정상회의 성공적인 개최에 공을 들여온 중국과 극동지역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러시아가 지난 24일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에 대해 유엔 안보리 규탄 성명 채택에 동조하는 등 미묘한 태도 변화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베이징 소식통은 "G20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원하는 중국으로선 안보리 규탄성명 동참을 강하게 원하는 미국의 요구를 묵살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대북 문제에 대해 관련 당사국들이 긴장 조성을 하면 안 된다는 중국의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는 거로 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사드로 인해 한중관계가 경색된 만큼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이견이 있지만 서로 존중하며 해결해나가겠다’ 내지는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서로 노력하자’는 수준의 메시지를 도출할 수 있다면 한중관계가 전환점을 맞을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G20정상회의에서 안보 현안이 다뤄지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이번 한중정상회담에서는 아예 사드 문제가 거론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그렇다 해도 G20 정상회의가 끝난 뒤에는 중국이 다시 사드 문제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높일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여 한중 양국이 사드 돌파구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9월 연쇄 정상외교의 현실적인 목표는 사드가 국제사회의 대북 공조를 막아서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채택 6개월을 맞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2270호) 이행에 중국이 실질적, 지속적으로 동참하도록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러, 한중, 미중 등 정상간 양자 협의의 결과는 8일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의장성명에 포함될 대북 메시지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명에 지난달 27일 나온 유엔 안보리 대북 규탄 성명 수준의 강도 높은 메시지가 들어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