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진영 기자 = 누구에게나 처음은 있다. 화려한 시작도 있고 다소 미지근한 시작도 있을 것이다. 밴드 트랜스픽션의 시작은 마음에 쏙 들진 않았지만 화려했고, 또 강렬했다. 지난 15년간 몇 번의 분기점에 섰던 트랜스픽션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왔다. 100% 만족할 순 없을지 몰라도 최선의 수다.
"데뷔 때는 센 음악을 하지 않았어요. '내게 돌아와'는 트렌디한 음악이었죠. 이후 월드컵 응원가 같은 걸 하면서 초기랑 조금 다르게 갔던 건데 '다시 과거로 돌아가 보자'고 했어요. '알로하'의 초반 기타 리프가 '내게 돌아와'랑 살짝 비슷해요. 일부러 그런 느낌을 주려고 했죠."(해랑)
"봄에는 버스커버스커 때문에 안 되잖아요. 하하."(손동욱)
차트 위주의 음원시장에서 신곡을 발매하는 록밴드의 심경이 이보다 더 솔직할 수 있을까. 정규앨범을 내는 게 자기만족이 된 시대, '알로하'는 대중에게 조금 더 가깝게 다가가기 위한 트랜스픽션의 노력이다.
고민이 많았던 신곡인 만큼 각자 생각하는 '킬링 파트'도 달랐다. 해랑의 표현에 따르면 "탄산음료 터지는 듯한 느낌이 드는" 이 노래의 킬링 파트는 2절이 끝나고 멜로디가 전환되는 부분이다. 브릿지가 넘어가며 하와이 인사들이 쏟아지는 데 "그 부분이 제일 관건이라고 생각한다"고 해랑은 말했다.
드럼을 맡은 천기는 "벌스 들어갈 때 보컬이랑 통기타 소리만 나온다. 1집 때의 초심을 찾겠다는 느낌이 거기에서 살아난다고 생각한다. 도입을 굉장히 좋아한다"고 설명했다.
고민 끝에 초심으로 돌아가기로 한 이들의 의지는 노래 곳곳에서 엿볼 수 있다. 대중이 사랑했던 트랜스픽션의 음악들을 떠올리게 하는 기타 리프와 절제한 듯 하면서도 힘이 있는 멜로디가 그렇다. 만드는 이는 고민이 많아도 듣는 이는 신나게 고개를 끄덕이면 되는, 사실 그런 곡을 만들기가 더 어려운 법이다.
더 이상 새로운 록스타가 나오지 않는 시대. 록밴드로서 고민은 당연히 클 수밖에 없다. 전 세계로 시야를 넓혀도 2000년대 초반 이후 새롭게 등장하는 록스타를 찾기 어려운 건 록을 하는 이들의 현상황을 짐작케 한다. 그래서 더 고민하고 노력하는 트랜스픽션은 올 여름은 '알로하' 활동과 페스티벌을 통해 팬들과 교감할 예정이다. 어두울 때도 열정을 꺾지 않는 것, 어쩌면 그게 진짜 '록스피릿'일지 모르겠다.
"음악을 17년 정도를 했어요. 주류 음악이 바뀌는 건 이제 낯선 일은 아니에요 그래서. 음악의 흐름이 바뀌는 걸 보는 것도, 그런 변화하는 흐름 사이에서 계속 록을 하는 것도 재미있는 경험인 것 같아요. 밴드가 빛을 보는 시기는 아니지만 어쩌면 또 지금이 록밴드가 활동하기 좋은 시대가 아닌가. 그런 생각도 하고요. 저변을 다지며 또 좋은 시기를 기다려야죠. 음악은 돌고 도니까요."(전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