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우 교수(고려대)·수잔 캑(예일대) 공동연구팀은 미래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이 같은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연구는 자연과학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6일자에 게재됐다.
최근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독감,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의 공포가 퍼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예방하는 백신 또는 치료제의 개발은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실정이다.
기억 T세포는 백신 또는 항원의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면역세포로, 재감염시 빠르고 강한 반응을 나타내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백신에 의해 항상 기억 T세포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기억 T세포의 생성, 생존, 유지 등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높았다.
한미 공동연구팀은 병원균에 의해 자극 받은 T세포가 분화할 때 CCR7을 가지지 못한 세포들은 기억 T세포로 성장하는데 더 용이한 것을 확인했다. CCR7이 없는 기억 T세포들은 생존과 증식이 허파와 골수에서 정상 세포보다 증가한 것 또한 발견했다.
특히 CCR7이 없는 기억 T세포는 정상 세포보다 허파와 골수로 많이 이동, 그 곳에서 생존 및 증식이 용이한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CCR7이 결핍된 기억 T세포는 허파 또는 골수에 감염하는 병원균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래부는 이번 연구로 기억 T세포의 이동성에 따라 기억 T세포의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백신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싸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기억 T세포를 통해 암 면역, 알러지 질환, 자가면역 질환, 장 염증 질환 등 질병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용우 교수는 "이 연구는 면역세포인 기억 T세포의 발달, 유지 등 생존에 영향에 미치는 핵심 인자를 밝힌 것"이라며 "특히 폐와 골수에서 기억 T세포의 생존과 증식이 많이 나타난 연구결과는 독감, 메르스 등 호흡기 감염병에 대응하는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과학적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