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문기 기자 ="한미 양국의 한국사드배치 발표를 강력히 규탄한다"
경기 평택지역 25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사드배치반대 평택대책위원회(준) 이은우 준비위원장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날 국방부가 발표한 사드(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장소로 평택이 거론 되고 있는것에 대해 이같이 반대하고 나섰다.
이 준비위원장은 "한미양국은 지난 3월부터 사드배치를 위한 실무조사단을 운영하고 한국배치를 전제로 지역을 물색해 왔다."며 이는북한의 핵과 WMD(대량살상무기) 탄도미사일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과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한미동맹의 군사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조치로 결정하게 됐다”고 하지만, 실상은 탐지거리 5000킬로미터의 사드 레이더로 중국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정보를 미국과 일본에 넘겨주어 미국과 일본을 지켜주기 위한 미일 미사일방어 전초기기가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사드의 한반도 배치로 '총알받이'가 된다고 중국 언론 환구시보가 공개적으로 보도했다"며 "71년의 분단으로 인한 긴장과 대결의 끝은 요원하고 동북아시아는 신냉전의 대결 체제가 만들어 지는 것이며, 강대국간 대결로 외교 경제 군사비등 이 악화될 부담을 국민들이 짊어지고 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준비위원장은 "직접적으로는 배치 지역 주민들은 전자파와 소음으로 인해 생존권과 재산권, 환경권을 상실할 수밖에 없으며, 정든 터전에서 쫓겨나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며 "신냉전이 도래하여 동아시아의 평화를 파괴하며 강대국들의 군사대결정책의 희생양이 되는 사드는 평택뿐 아니라 대한민국 어디에도 배치되어선 안된다"고 반대 이유를 제기했다.
이에 "민주주의와 평화를 사랑하는 모든 시민들과 풀뿌리 조직들과 정당, 안전한 평택을 염원하는 모든이들이 함께 사드 한국배치, 평택배치를 반대하는 운동에 힘차게 나설 것"이라며 "한미 당국은 평화위협, 경제타격, 주민생존권 훼손하는 사드 배치를 즉각 중단하라"고 외쳤다.
평택지역 25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사드배치반대 평택대책위원회(준)은 지난 5일 결성됐는데, 이날 오후 5시 안중지역 사드반대 선전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어 13일에는 대중 강연회와 시민선전전등으로 시민의 의지를 모아 나가면서, 19일 대책위원회 결성과 20일 사드반대 평택시민 결의대회를 평택역에서 개최한다고 했다.
앞서 공재광 평택시장은 지난 2월 "우리나라의 안보를 위해서는 사드 배치에 공감하지만, 평택시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 46만 시민과 함께 적극 반대한다"고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그 이유로 "평택에는 그동안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미군기지 이전, 해군2함대, 발전소, LNG, LPG 가스, 석유비축 기지 등 보안시설 등이 많이 위치하고 있다"며 "특히 미군기지 이전시에는 대추리 주민들은 물론, 시민간 찬반으로 반목과 갈등의 아픈 과정을 겪는 등 시민들이 희생을 감수해야만 했다"고 토로 했었다.
이 준비위원장은 "직접적으로는 배치 지역 주민들은 전자파와 소음으로 인해 생존권과 재산권, 환경권을 상실할 수밖에 없으며, 정든 터전에서 쫓겨나는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며 "신냉전이 도래하여 동아시아의 평화를 파괴하며 강대국들의 군사대결정책의 희생양이 되는 사드는 평택뿐 아니라 대한민국 어디에도 배치되어선 안된다"고 반대 이유를 제기했다.
이에 "민주주의와 평화를 사랑하는 모든 시민들과 풀뿌리 조직들과 정당, 안전한 평택을 염원하는 모든이들이 함께 사드 한국배치, 평택배치를 반대하는 운동에 힘차게 나설 것"이라며 "한미 당국은 평화위협, 경제타격, 주민생존권 훼손하는 사드 배치를 즉각 중단하라"고 외쳤다.
평택지역 25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사드배치반대 평택대책위원회(준)은 지난 5일 결성됐는데, 이날 오후 5시 안중지역 사드반대 선전전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어 13일에는 대중 강연회와 시민선전전등으로 시민의 의지를 모아 나가면서, 19일 대책위원회 결성과 20일 사드반대 평택시민 결의대회를 평택역에서 개최한다고 했다.
앞서 공재광 평택시장은 지난 2월 "우리나라의 안보를 위해서는 사드 배치에 공감하지만, 평택시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 46만 시민과 함께 적극 반대한다"고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그 이유로 "평택에는 그동안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미군기지 이전, 해군2함대, 발전소, LNG, LPG 가스, 석유비축 기지 등 보안시설 등이 많이 위치하고 있다"며 "특히 미군기지 이전시에는 대추리 주민들은 물론, 시민간 찬반으로 반목과 갈등의 아픈 과정을 겪는 등 시민들이 희생을 감수해야만 했다"고 토로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