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5공보다 못한 잠실운동장 개발…한류연구소장 한승범

2016-04-29 08:06
  • 글자크기 설정

잠실지구 컨벤션은 스위스 치즈다

한류연구소장 한승범[1]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코엑스 일대는 무역센터, 코엑스 전시장, 도심공항터미널, 호텔 등으로 이뤄져 있다.

코엑스는 제5공화국 전두환 전 대통령 시절 남덕우 전 한국무역협회장이 건설하였다. 2016년 현재 시점에서 봐도 코엑스 일대의 웅장함이나 세련됨은 다른 나라에 비해 전혀 뒤지지 않는다. 코엑스는 대한민국 최고의 전시․문화
·관광의 명소라는데 이견이 없을 것이다.

코엑스 건너편 소위 ‘강남의 마지막 금싸라기 땅’으로 불렸던 옛 한전부지 79,342평방미터(㎡)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사들여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이곳은 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로 개발되는데 105층 높이의 메인타워와 전시·컨벤션, 공연장과 호텔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는 ‘잠실운동장 지구개발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곳에 제2의 코엑스를 만들겠다는 원대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아울러 코엑스~잠실운동장 일대를 ‘국제교류복합지구’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개발이 완료되는 2025년 사람들은 이 개발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릴 것인가?

우리는 일을 할 때 ‘선택과 집중’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 서울시는 잠실운동장 일대를 전시·컨벤션, 스포츠, 공연·엔터테인먼트, 수변 문화여가 시설이 어우러진 글로벌 마이스(MICE: 기업회의·전시사업·국제회의) 중심지로 바꾼다는 구상이다. 기존의 코엑스와 현대차GBC, 잠실운동장 일대를 초대형 전시·컨벤션 벨트로 선택·집중한다는 장밋빛 전망이다.

우선 ‘선택과 집중’이란 용어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선택과 집중’ 용어의 창시자인 세계적인 전략가 마이클 포터는 “전략의 본질은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지 선택하는 일”이라고 했다. 다시 말해 선택·집중하기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무언가를’ 버려야 하는 전략적인 선택이 필요하다.
자, 이제 코엑스와 현대차GBC, 잠실운동장 일대를 한데 묶어 개발하는 것이 효율성이 있는지를 따져보자.

코엑스와 현대차GBC는 도로 하나를 두고 마주보고 있고 무엇보다도 지하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하지만 잠실운동장 일대는 전혀 그렇지 않다. 우선, 행정상으로 코엑스
·현대차GBC는 강남구이고, 잠실은 송파구이다. 송파구와 강남구를 나눈 경계선이 바로 탄천이다.

탄천은 작은 개울가가 아닌 폭이 무려 80미터에 달한다. 코엑스와 잠실운동장 간의 직선거리는 최소 700미터 이상이다. 코엑스
·현대차GBC와 잠실운동장 사이에는 심리적·물리적 방파제가 엄연히 존재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코엑스와 잠실운동장 일대를 ‘국제교류복합지구’로 묶는다는 발상은 말잔치로 끝나고 시너지 효과는 거의 없을 전망이다.

잠실종합운동장 메인스타디움에서 열린 경기는 2014년 4건 14일, 2013년 9건 25일에 불과하다. 거의 경기가 열리지 않아 흉물이나 다름없는 스포츠단지와 전시·컨벤션와의 동거가 과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인가? 서울시의 고민도 십분 이해가 간다.

서울에 종합체육시설(축구장, 야구장 등)을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썰렁한 스포츠단지와 전시·컨벤션의 조합을 고육지책으로 생각해냈을 것이다. 그래서 야구장을 강변 쪽으로 옮기는 임기웅변을 통해 잠실운동장 입구에 전시·컨벤션센터를 세우는 방안을 구상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 세워지는 전시·컨벤션은 10만㎡ 규모에 불과하다. 기존 코엑스 일대 총면적( 190,386㎡)의 1/2 밖에 되지 않는다.


현대차GBC가 아무리 입지조건이 좋다 해도 총면적은 8만㎡에도 못 미친다.

하지만 잠실운동장 일대는 그에 5배에 달하는 41만㎡이다. 잠실운동장 일대는 강남을 넘어 대한민국의 마지막 희망의 땅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서울시는 이 중 1/4만을 전시 컨벤션으로 쓴다는 것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코엑스, 한전GBC, 잠실운동장 세 곳에 작은 전시·컨벤션센터가 띄엄띄엄 있는 모양새가 될 것이다. 한 마디로 구멍이 뻥뻥 뚫린 스위스 치즈 형태의 전시·컨벤션센터가 될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현재 국제회의가 가능한 서울시의 컨벤션센터의 총면적은 7만1964㎡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독일 하노버 메세 컨벤션센터의 면적은 40만㎡가 넘으며 가까운 중국만 해도 광저우(34만㎡), 충칭(20만4000㎡) 상하이(20만㎡) 등에 초대형 컨벤션센터를 개장하고 있다. 그런데 서울시는 잠실운동장 일대 41만㎡에 겨우 10만㎡의 컨벤션센터를 구상하는 것이다. 선택과 집중을 위한 ‘무언가를’ 버리려는 노력이 없다.


내년이면 외국인 관광객 2천만 명 시대가 열린다. 우리는 이제 외국인 관광객 5천만 명 그리고 장기적으로 1억 명이라는 원대한 계획을 세우고 정진해야 한다. 그런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80년대식 개발 방식으로는 힘들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서 놀라고 감동할 만한 그런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랜드마크가 필요하다. MICE산업과 복합리조트 산업 성공 여부는 ‘규모의 경제’와 ‘선점효과’에 달려있다.

서울시가 벤치마킹할 사례는 무수히 많다. 그 중에서도 두바이와 싱가포르 성공사례가 잠실종합운동장 일대 개발에 커다란 영감을 줄 것이다.

사막으로 뒤덮인 두바이에는 스키장이 있다. ‘몰 오브 에미리트(Mall of the Emirates)’ 쇼핑몰 안에 있는 실내스키장은 수많은 관광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또한 바다 위 인공 섬에 럭셔리 호텔, 별장, 워터파크를 건설한 ‘팜 아일랜드’는 어떠한가? 이 정도는 돼야 비싼 돈을 내고 관광할 맛이 나지 않겠는가? 싱가포르는 면적이 서울시와 비슷하고 인구는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싱가포르는 대한민국보다 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대국이다. 싱가포르의 대표적인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관광자원이 바로 ‘마리나베이 샌즈’이다. 이곳은 2500개가 넘는 객실과 12만 ㎡의 컨벤션센터, 쇼핑몰, 박물관, 세계 최대의 카지노가 함께 하는 복합 리조트이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코엑스와 잠실운동장은 엄연히 다른 곳이다. 흉물 운동장과 전시·컨벤션은 궁합이 맞지 않는다. 이 둘을 무리하게 엮을 생각에 5공 때보다 못한 난개발을 만들지 말기를 간절히 바란다. 때로는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가장 생산적인 일이 될 수가 있다. 서울시는 성급한, 그저 그런(so so), 그리고 어설픈 구상을 지금이라도 중단하는 것이 좋다. 좀 더 창의적이고 좀 더 긴 호흡으로 ‘대한민국 최고의 요지’ 잠실운동장 일대를 개발할 수 있기를 바란다.

도박은 불확실한 것을 얻기 위해 확실한 것을 거는 것이다(stakes a certainty to gain an uncertainty) - 17c 천재 과학자 블레즈 파스칼(Blaise Pascal)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