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4·13 총선 이후 정부가 조선업계 구조조정에 본격 개입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시나리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민간 자율에 맡겨서는 경영 정상화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이른바 ‘빅3’에 ‘메스’를 대기로 했다.
지난해 조선 3사의 총 영업손실은 8조5000억원에 달한다. 대우조선해양이 영업손실 5조5000억원을 봤고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각각 영업손실이 1조5000억원에 이르렀다.
정부는 지난해 범정부 차원의 구조조정 컨트롤타워인 구조조정협의체를 통해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5대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분류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총선 결과가 ‘여소야대’로 재편되면서 당장의 인력 구조조정보다는 기업인수·합병(M&A) 가능성에 무게가 쏠린다.
정치권 관계자는 “조선사 노조가 강성 중에 강성으로 꼽히는 만큼 정부와 여당이 노조와의 정면 충돌은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인력감축을 동반될 수밖에 없는 조선업계의 특성상 여소야대 정국에서 정부의 의지만으로 구조조정이 구체화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최근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합병하는 시나리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두 회사 모두 경남 거제시에 위치하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지리적으로 가까워 불필요한 자원의 이동과 분산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합병이 이뤄지면 시추설비와 생산설비 등 해양플랜트사업의 역량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두 회사의 주력 사업인 드릴십,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 등의 경쟁력 강화도 예상된다.
정부 주무 부처와 해당 기업들의 부인에도 합병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이유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올해 이동걸 회장 취임 이후 자회사 매각을 위해 출자회사관리위원회를 출범하는 등 자회사 매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은 49.74%다.
문제는 글로벌 업황이 좋지 않는 상황에서 만성적자의 늪에 빠져 있는 기업을 인수하기가 부담스럽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방산부문이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외국기업이나 사모펀드에 매각하기도 어렵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입어 시가총액이 1조4218억원으로 줄었지만, 이마저도 조 단위가 넘는 큰 금액이다.
변수는 삼성그룹 내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물산, 엔지니어링, 중공업 등 그룹 계열사들끼리의 합병설이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제일모직과의 합병으로 삼성그룹의 사실상 지주회사가 된 삼성물산과 삼성엔지니어링이 합쳐지면 그룹의 지배권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방산사업에서 철수한 마당에 대우조선해양의 방산 부분까지 다시 끌어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정부와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의 방산 부분을 분리 매각을 시도할 경우,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 가능성이 조금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민간 자율에 맡겨서는 경영 정상화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이른바 ‘빅3’에 ‘메스’를 대기로 했다.
지난해 조선 3사의 총 영업손실은 8조5000억원에 달한다. 대우조선해양이 영업손실 5조5000억원을 봤고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도 각각 영업손실이 1조5000억원에 이르렀다.
정부는 지난해 범정부 차원의 구조조정 컨트롤타워인 구조조정협의체를 통해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5대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분류한 바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조선사 노조가 강성 중에 강성으로 꼽히는 만큼 정부와 여당이 노조와의 정면 충돌은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인력감축을 동반될 수밖에 없는 조선업계의 특성상 여소야대 정국에서 정부의 의지만으로 구조조정이 구체화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최근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합병하는 시나리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두 회사 모두 경남 거제시에 위치하고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지리적으로 가까워 불필요한 자원의 이동과 분산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합병이 이뤄지면 시추설비와 생산설비 등 해양플랜트사업의 역량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두 회사의 주력 사업인 드릴십,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 등의 경쟁력 강화도 예상된다.
정부 주무 부처와 해당 기업들의 부인에도 합병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이유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올해 이동걸 회장 취임 이후 자회사 매각을 위해 출자회사관리위원회를 출범하는 등 자회사 매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은 49.74%다.
문제는 글로벌 업황이 좋지 않는 상황에서 만성적자의 늪에 빠져 있는 기업을 인수하기가 부담스럽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방산부문이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외국기업이나 사모펀드에 매각하기도 어렵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입어 시가총액이 1조4218억원으로 줄었지만, 이마저도 조 단위가 넘는 큰 금액이다.
변수는 삼성그룹 내에서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물산, 엔지니어링, 중공업 등 그룹 계열사들끼리의 합병설이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제일모직과의 합병으로 삼성그룹의 사실상 지주회사가 된 삼성물산과 삼성엔지니어링이 합쳐지면 그룹의 지배권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방산사업에서 철수한 마당에 대우조선해양의 방산 부분까지 다시 끌어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면서 “정부와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의 방산 부분을 분리 매각을 시도할 경우,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합병 가능성이 조금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