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국내 기업들은 인도시장의 가격경쟁, 보호무역 등의 어려움에도 시장성장 가능성을 보고 현지 사업을 확대, 위험을 감수하는 상황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가 중국에 이어 스마트폰과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의 가장 큰 수출시장으로 부상했지만 경쟁심화 및 자급력 확대, 수입규제 등의 리스크도 덩달아 높아졌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지켰지만, 마이크로맥스 등 로컬 브랜드와 경쟁하며 중저가 전략으로 대응해 수익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인도에서 역대 최다 판매 기록을 갱신한 현대차도 불안감이 없지 않다. 인도와 일본의 합작기업 마루티-스즈키가 40%를 넘는 점유율로 1위를 달리고 있으며, 현대차에 이어 마힌드라, 타타 등 로컬 브랜드가 강세이기 때문이다.
인도는 또 수도권 대기오염 개선을 위해 디젤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전기차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내연기관 기술에서 앞선 현대차도 배터리로 구동하는 전기차 시장에선 새롭게 경쟁해야 하는 처지다.
인도내 수입비중이 높은 석유화학 산업은 현지 정부가 적극 개입해 자체 생산설비를 확충하공 있다. 합성고무와 고흡수성수지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제품을 중심으로 로컬 기업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 제품에 대한 안티덤핑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
한국은 인도의 주요 수입규제 대상국가로, 최근 5년간 규제 건수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등 보호무역의 장벽이 높다. 주로 화학, 철강, 섬유, 전기전자 등의 제품에 규제가 집중돼 있다.
인도 정부의 외국인 투자환경 인프라 개선 노력에도 여전히 행정절차의 복잡성뿐 아니라, 관료주의나 부정부패로 인한 진출 방해요소도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로 인한 프로젝트 지연도 잦다. 포스코의 오디샤주 일관제철소 프로젝트 지연 사례가 대표적이며, 두산중공업도 인도국영화력발전공사가 발주한 석탄화력 프로젝트가 다소 지연된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 관계자는 “인도는 경제성장률이 중국을 앞지르는 등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며 “제품단가 압박 등의 어려움이 많은 게 사실이지만, 현지 사업을 확대한다는 기본 방침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