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지카바이러스 대응 연구개발에 30억원 투입

2016-02-18 12:00
  • 글자크기 설정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 (자료=질병관리본부)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가 국내 유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지카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30억원을 투입한다.

미래부는 18일 지카바이러스의 특성, 원인규명 연구와 현장 신속 진단키트 개발을 위한 신규과제 공모를 19일부터 내달 18일까지 접수해 3월 말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간다. 이번 지카바이러스 신규과제 수행을 위해 총 3개의 연구팀을 선정해 3년간 총 3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개발은 지카바이러스의 생물학적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원인규명과 국내 환경에서의 변형 가능성 등을 예측하고, 향후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핵심 원천기술개발에 연간 2억원이 투입된다. 또 지카바이러스 감여 여부에 대한 확진을 위한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감염 여부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하기 위한 진단키트 개발에도 연간 8억원을 지원한다.

앞서 지난 16일 열린 ‘감염병 글로벌 연구협력센터 전문가 간담회’에서 국내에는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아 연구지식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됐다.

특히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도 지카바이러스 감염자가 발생하면서 국내 유입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는 판단 아래, 지카바이러스 국내 유입 후 효과적 대응과 선제적 진단, 치료기술 확보 필요성도 제기됐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러한 의견들을 바탕으로 홍남기 미래부 제1차관이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신속한 연구개발 착수를 지시했다”며 연구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현재 지카바이러스는 브라질 등 중남미를 중심으로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의 신생아 소두증 급증이 지카바이러스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의심되면서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지카바이러스의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백신개발에 착수했으며, 브라질 등 중남미 현지에서는 군을 동원한 모기 방역체계를 풀가동해 지카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있다.    

미래부는 향후 지카바이러스의 국내 유입과 토착화 등 위기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할 방침으로, 성공적인 기술개발을 위해 글로벌 감염병 네트워크(GloPID-R)도 활용할 계획이다. GloPID-R를 통한 공동 연구 컨소시엄 참여와 현지 검체 확보 등을 진행하기 위해서다.

홍 차관은 “이번 지카바이러스 대응 연구개발은 선제적인 감염병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유입 시 감염병의 대응 능력을 높일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유입 가능한 감염병의 선제적인 연구개발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집트 숲모기 (미래부 제공)


※ 지카바이러스 개요 
지카바이러스(Zika virus)는 뎅기열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유사한 플라비바이러스 계열로 주로 아열대 지역에서 발생한다. 감염경로는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이집트 숲모기'에 물려 감염되며, 사람들의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전파가 불가능하나 성접촉, 수혈 등으로 감염된다. 최근 사람 간 감염이 확인되면서 대유행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의 백신고 치료제는 아직 없으며, 바이러스의 유전체 검사를 통해 확진이 가능하다. 감염될 경우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로 대부분 회복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