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유명 인터넷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배려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16일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접근성 수준을 조사한 '2015 정보접근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12년 이후 3년간 700개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접근성은 6.5점 향상된 83.2점, 100개 모바일 앱은 13.6점 개선된 78.1점인 것으로 각각 평가됐다.
2014년과 비교해도 웹 사이트는 3.8점, 모바일 앱은 1.42점 향상됐다.
그러나 인지도나 대중성이 높은 상위 100위 웹 사이트와 상위 50위 모바일 앱의 정보접근성은 각각 78.9점, 77.9점으로 전체 조사 대상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정보접근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유명 인터넷사이트들에서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배려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접근성을 분야별로 보면 문화예술체육 분야가 87.1점으로 가장 우수했고, 이어 공공기관(86.6점), 의료기관(85.2점), 교육기관(84.1점), 복지시설(83.1점) 순이었다.
웹 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정보접근성을 위해 갖춰야 할 항목 중 공통으로 미흡한 것은 대체텍스트(그림 등 시각적 이미지를 문자 텍스트로 전환해 설명한 것)였다.
그러나 인지도나 대중성이 높은 상위 100위 웹 사이트와 상위 50위 모바일 앱의 정보접근성은 각각 78.9점, 77.9점으로 전체 조사 대상의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정보접근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유명 인터넷사이트들에서 장애인, 노인 등을 위한 배려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접근성을 분야별로 보면 문화예술체육 분야가 87.1점으로 가장 우수했고, 이어 공공기관(86.6점), 의료기관(85.2점), 교육기관(84.1점), 복지시설(83.1점) 순이었다.
웹 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정보접근성을 위해 갖춰야 할 항목 중 공통으로 미흡한 것은 대체텍스트(그림 등 시각적 이미지를 문자 텍스트로 전환해 설명한 것)였다.
송정수 미래부 정보보호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보접근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했지만, 정보접근성 개선을 위한 기업이 관심과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보접근성은 기업의 비용이 아닌 사회적 책임“이라며 "정보통신 기술이 우리 사회가 함께하는 수단으로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기업의 관심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