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서울시가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자료를 토대로 오는 2033년까지 25개 자치구별 미래인구를 추계한 결과, 앞으로 15년 정도면 초고령사회의 진입이 예상된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2013년 시 구성원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9%이지만 2019년 14.3%로 증가해 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이어 2026년에는 일부 자치구에서 ‘초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 20% 이상)’로 들어선 뒤 2032년에는 서울시의 모든 자치구의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향후 20년간 모든 자치구의 인구구조가 저연령층이 줄고 고연령층이 늘어나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각 자치구별 미래 예상 총인구, 연령별 인구구조 통계 등을 담은 '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16.1.추계)'자료를 ‘서울통계’ 홈페이지(http://stat.seoul.go.kr)에 16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중위연령(총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 정 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2013년 자치구 평균이 39세였지만 2033년에는 48.6세로 높아지며 이때 50세가 넘는 자치구도 9개나 예상됐다.
또 생산가능인구(15세~64세)는 2013년 758만 3000명(76.4%)에서 점차 감소세를 보여 2033년에는 601만 7000명(63.6%)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3년 30.9명에서 2033년에는 57.2명으로 증가가 예상된다.
한편 서울시 전체 인구는 2013년 992만 6000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2033년에는 946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인구감소의 이유로는 출생아 감소와 타 도시로의 이동이 꼽혔다.
김기병 서울시 통계데이터담당관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향후 20년 인구 변화 전망치를 처음으로 추계함에 따라 어르신‧청소년 정책은 물론 시민생활과 밀접한 주택‧교통‧복지 등 서울시 주요 중장기계획의 효과적인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통계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