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열 칼럼] 숫자가 말한다… 서울 0.98 해남 2.43

2016-02-10 08:17
  • 글자크기 설정

김동열(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

[김동열(현대경제연구원 정책조사실장)]


숫자가 말한다. 1.21이라는 숫자가 하는 말에 주목해야 한다. 1.21은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이다. 홍콩,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세계 최저수준이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15세에서 49세까지의 가임기간에 낳는 평균 자녀수를 말한다.

현재의 인구를 유지하려면 합계출산율이 2.1은 돼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합계출산율이 절반 정도에 불과해 조만간 인구가 감소한다고 걱정이다. 인구만 줄어드는 게 아니라 25세에서 49세까지의 핵심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드는 게 더 문제다. 합계출산율이 중요한 이유는 우리 경제의 생산성과 관련돼 있기 때문이다.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청년층 인구의 비율이 높아야 한다.
1.21이라는 숫자가 경제적으로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사회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서울대 조영태 교수의 추계에 따르면, 현재의 저출산 상태가 지속될 경우 2034년경 우리나라 대학 179곳 중 71곳은 문을 닫아야 한다. 대입 수험생이 2014년 66만여명에서 2034년에는 39만여명으로 감소하고, 대학의 평균 충원율도 87%에서 52%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선생님 숫자도 3만8000여명이나 줄여야 한다.

물론 우리나라도 출산율이 높았던 시절이 있었다. '베이비붐'이 일던 1960년에는 합계출산율이 6.0이었지만, 1983년 2.1로 급락한 후 현재 1.21까지 내려왔다. 문제는 지난 10년간 저출산·고령화 대책을 수립해 정책 역량을 집중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오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포기할 수는 없다. 성공 사례도 많다. 프랑스는 1995년 출산율이 1.65까지 하락하자 국가차원의 저출산 대책을 시행했다. 가족수당 확대 지급, 육아휴직 활성화, 미혼모 대책 등을 통해 2012년 현재 2.01로 선진국 중에서도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 스웨덴도 출산율이 1995년에 1.5까지 하락했지만, 부모휴가제도의 도입 등 남성의 육아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며 출산율이 반등해 2014년 현재 1.91까지로 올라왔다.

국내에서도 성공사례는 있다. 2014년 현재 해남군은 합계출산율이 2.43이다. 서울시의 0.98에 비하면 2배 이상이다. 대부분의 시골에서 겪는 저출산 고령화와 그로 인한 인구 감소의 문제에 지자체가 적극 대응한 결과다.

비법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이 낳는 것을 자랑스러운 일로 축하해주고, 공동체가 함께 키워간다는 분위기를 만들어 줬다. 물론 해남군에도 자녀 양육 수당은 있다. 첫째 300만원, 둘째 350만원, 셋째 6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하지만 요즘 세상에 돈 준다고 애 낳겠다는 젊은이들은 많지 않다. 아이를 낳으면 지역 신문에서 축하 광고를 해준다. 이름도 지어준다. 소고기와 미역을 보내준다. 예방접종도 무료로 해준다. 공공 산후조리원을 만들어 산모가 마음 편하게 회복할 수 있게 도와준다. 돈이 문제가 아니라 아이를 낳는 것이 중요하고 축복받을 일이며 마을 전체가 함께 키워간다는 분위기를 조성해준 것이 성공 요인이다.

그런데 왜 서울은 0.98일까? 1982년에 2.05, 1998년에 1.26, 2007년에 1.06, 2014년에 0.98로서 하락 추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해남은 숫자가 올라가는데 서울은 숫자가 계속 낮은 상태에 머무르는 이유가 뭘까? 물론 서울만 낮은 것은 아니다. 부산, 대구, 광주, 인천 등 대도시 역시 전국 평균(1.21)에 못 미친다. 

그만큼 대도시에서 아이를 키우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집값이 비싸다보니 주택마련이 어렵고, 그러다 보니 결혼이 늦어지고, 아이를 낳는 것이 늦어진다. 또 둘째 낳을 시기를 놓치기 일쑤다. 이보다 더큰 문제는 청년들의 일자리다. 안정적인 직장을 구하기 어려우니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고, 저출산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 장시간 근로에 시달리고, 남성의 가사분담이 어려운 것도 큰 문제다. 2015년 발표된 자료를 보면 한국 남성의 육아 참여 시간은 하루 6분에 불과하다. OECD 30개 국 중 30위였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은 남성의 5배에 달했다. 정부 정책만으로  모든 사회문제가 중첩된 저출산 문제를 다 해결할 수는 없다. 가정에서는 남편과 아내가 합심해야 하고, 기업에서는 직원의 일-가정 양립을 도와줘야 한다. 사회적으로는 부담없는 자녀양육이 가능하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집값도 안정시키고, 청년 일자리도 만들어야 한다. 이런 모든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저출산 문제가 풀릴 수 있다.

1.21이라는 숫자는 우리 사회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기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 숫자가 말하는 의미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사교육 시장, 초등학교 선생님, 대학교수, 기업, 정부 모두가 아이들의 출산율 숫자에 주목해야 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