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한국사회의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지난해 서울 지하철 1∼8호선의 무임운송 비용이 3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 지하철 양 공사가 지난해 낸 당기순손실의 85%달하는 규모다.
28일 서울시가 국회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 중랑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철의 무임운송 비용은 3154억원에 달했다.
무임운송 비용이 확대된 배경으로는 지하철 요금 인상과 노인층 증가가 지적된다. 노인복지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 유공자 등은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하철 요금은 2012년 2월 150원과 2015년 6월 200원 등 최근 4년동안 350원(38.9%)이 올랐다.
총 승차인원 중 무임운송 이용자 비율도 지난해 처음으로 14%를 넘었다.
지난해 지하철 1∼8호선 이용자 17억 8200만명 중 무임승차 인원은 2억 5000만명이었다.
지하철 무임운송 비율은 2010년 12.9%에서 2011년 13.1%, 2012년 13.4%, 2013년 13.5%, 2014년 13.7% 등으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메르스 사태로 인해 지하철 전체 이용자는 3200만명(1.8%) 줄었지만 무임승차 인원은 100만명 늘었다.
노인 무임승차 인원은 꾸준히 늘고있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1억 6300만명에서 2011년 1억 6900만명, 2012년 1억7700만명, 2013년 1억 8400만명, 2014년 1억 9400만명 등 2억명에 육박하고 있다. 5년 만에 3400만명이 증가한 셈이다.
당기순손실 대비 무임운송비 비율의 증가도 예상된다. 관계자들은 지난해 67.8%에서 올해 약 85%로 뛸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무임수송 정책에 따른 비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국가적으로 전혀 보전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무임수송 비용이 지원되면 그만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철의 적자 폭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