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명문 베이징대를 졸업하고 해외 유학 후 귀국한 중국인 장(張)씨. 그가 귀국후 선택한 것은 ‘철밥통’ 공무원, ‘신의 식장’ 대기업도 아니다. 베이징 ‘실리콘밸리’라 불리는 중관춘에서의 창업이다.
장 씨는 “창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놀라울 정도”라며 “기업 등록자본금의 분기별 납부가 가능해지고 기업 설립 절차도 훨씬 간단해졌다”고 전했다.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대중창업, 만인혁신’을 제창했다. 창업과 혁신을 경제 발전의 새 엔진으로 삼아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성장을 도모하겠다는 뜻이다. 올 5월초에는 베이징 중관춘을 직접 방문해 청년 기업가들과 만나 창업 지원책을 약속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돈·인재·인프라 방면에서 스타트 업 분야에 대한 전방위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가장 먼저 창업 문턱을 대폭 낮췄다. 국무원은 지난 해 2월 기업등록자본금 최소 요건을 철폐했다. 기존엔 최소 3만 위안(약 537만원)을 내고 기업을 차려야 했지만 이제는 단돈 1위안만으로도 창업할 수 있게 된 셈이다. 평균 한달 걸리던 기업등록 절차 기간도 사흘 이내로 단축시켰다.
파격적인 세금 감면책도 내놓았다. 중국은 8월 영세기업 세금을 감면해 주기로 했다. 예상 세금 감면 규모만 1000억 위안이 넘는다. 모두 창업 초기 기업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이다.
정책 자금도 쏟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 1월 400억 위안(약 7조1000억원) 규모의 국가신흥산업 창업투자 촉진기금을 조성한 데 이어 9월엔 총 600억 위안의 중소기업 발전기금도 마련하기로 약속했다.
벤처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창구도 늘려나가고 있다. 베이징에만 한정돼 있던 벤처 전용 장외거래 시장인 '신삼판'을 올 1월 전국적 범위로 확대했다. 지난 3분기에만 신삼판에서 벤처 기업들이 조달한 자금만 525억 위안에 달했다.
중국내 뜨거운 창업 열기에 지방도시들도 동참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지난 해 6월 2억 위안 넘게 투자해 중관춘에 만든 200m 길이의 창업거리를 지난 10월 7.2㎞까지 대대적으로 확장해 기능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제대로 된 '창업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만들겠다는 심산이다.
상하이는 해외 고급인재의 창업을 지원한다는 '푸장(浦江)인재계획'을 통해 해외 유학파 인재에게 매년 총 4000만 위안의 창업 자원을 지원하고 호적 취득 요건도 완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