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종이통장이 주는 신뢰성 고민할 때

2015-08-02 10:00
  • 글자크기 설정

[박선미 금융부 기자 ]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종이통장이 사라진다. 1897년 최초의 상업은행인 한성은행 때부터 120년 가까이 사용됐던 종이통장을 2017년부터 원칙적으로 발급을 중단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론의 반응이 영 탐탁치 않다. 시대변화의 산물이라고 보는 시각보다 시기상조라는 반감이 더 크다. 일부에서는 종이통장 퇴출 반대 서명운동을 추진하자는 움직임도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해킹이나 전산오류 문제다. 금융거래 내역 및 잔액 상황 정보가 왜곡될 경우 '내 돈을 못찾을 것'이라는 걱정이 앞선다. 이미 은행 및 카드사들의 개인정보유출사고에 고스란히 노출됐던 경험 탓이다. 금융사고에 노출돼 내 신용정보가 노년층에 대한 차별이라는 얘기도 들린다. 물론 노년층은 종이통장을 받을 수 있다. 또 종이통장을 원하는 사람은 통장발행 비용을 내고 발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노년층도 떠밀려 디지털통장을 이용해야 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물론 금융당국의 취지는 좋다.  통장을 만들고 관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만만찮고, 무엇보다 인터넷과 모바일 뱅킹이 일반화돼있는 시대다. 무통장 거래를 유도하기 위해 당장 9월부터 통장을 안받는 사람에게는 금리 우대, 수수료 경감, 경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하니, 저금리 시대에 반가운 이벤트다.

종이통장 없는 금융거래는 세계적 추세다. 일본을 빼면 종이통장을 쓰지 않는 곳이 많다. 미국, 영국 등은 종이통장 대신 거래명세서를 발급한다. 중국은 직불카드를 선발행 뒤 희망 고객에만 종이통장을 발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이통장 폐지 정책에 시기상조라는 비판이 들리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볼 때다. 보안우려가 어느때보다 높아진 상황에서 종이통장이 주는 신뢰성을 어떻게 대체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