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그리스발 위축 등 외국인투자 ‘부정적’…정부의 묘수는?

2015-07-08 15:02
  • 글자크기 설정

올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 '60억6000만달러'…전년比 19.8% 추락

하반기 투자유치전망 '부정적'…정부는 낙관론, "투자회복세 안 꺽여"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 올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가 감소세로 돌아선 가운데 하반기 투자유치 전망도 밝지 않다. 메르스(MERS) 영향과 그리스 발 유럽경기 위축 등으로 투자 유치가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 상반기 FDI 규모가 88억7000만달러(신고기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2% 감소했다고 8일 밝혔다. 도착기준으로는 60억6000만달러를 기록, 19.8%가 하락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동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감소했다. 이 중 유럽연합(EU)의 FDI는 13억1000만달러로 59.8%나 떨어졌다. 미국과 중국도 각각 21억달러(16.3%), 3억9000만달러(49.2%)로 감소했다.

반면 중동은 13억4000만달러를 기록하는 등 4095.7%가 증가했다. 중동의 증가세는 대통령 중동순방 때 체결한 포스코·사우디아리비아국부펀드(PIF) 간 투자협력 업무협약(MOU) 등 대형 연구개발(M&A)투자가 급증한 요인이다.

아울러 투자유형별로 보면 그린필드형 투자가 66억1000만달러로 17.9% 올랐다. 인수합병형 투자의 경우는 22억6000만달러인 52.2%가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 투자가 5.4% 하락한 63억7000만달러에 머물렀고, 제조업 투자는 68.2% 떨어진 11억달러였다.

문제는 하반기 투자유치다. 메르스(MERS) 영향에 따른 투자 방한 연기사례가 있고 그리스 발 유럽경기 위축도 투자 유치에 부정적이다. 특히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우려는 국내 외환·수출·증시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하반기 역시 투자회복세가 꺾이지 않는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는 것. 이는 대형 복합리조트(2개 내외) 지정에 대한 해외 투자가의 관심이 높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기대에 따른 중국 향(向) 투자가 구체화될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주소령 산업부 투자유치과장은 “복합리조트, 문화콘텐츠, 부품소재 등 투자유망분야에 성과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국내기업·지자체 등과 합동 투자유치설명회(IR) 등 소규모·맞춤형 투자유치설명회(IR)를 중국·유럽·중동·일본·미국 등 총 11회로 상반기 8회보다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주소령 과장은 이어 “중소기업과 해외 투자가간 1:1 상담회, 장·차관 등 고위급 투자유치활동, 주요 잠재투자가 방한 초청 투자설명회 등 이를 통해 올해는 사상 최초로 외국인 투자유치 200억 달러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