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메르스(중동호흡기중후군) 확산 사태에서 정부당국이 국정과제 해결을 위한 협업 시스템인 ‘정부3.0’을 외면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3.0’은 개방·공유·소통·협업 등을 핵심으로 하는 정부 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하지만 정부 출범 이후 비선조직 논란에 휩싸인 박근혜 정부가 국가재난 등 위기에도 공식 시스템 대신 정보의 ‘은폐’와 ‘통제’로 일관, 국가 역할과 존재 이유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됐다.
앞서 박근혜 정부는 집권 1년차인 2013년 6월 ‘정부3.0’ 비전 발표식에서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정부 등을 핵심으로 하는 국정 청사진을 제시했다.
정부는 국가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3만510개) 등에 국한된 정보공개 대상기관을 위원회와 출자·출연기관 및 보조기관(3만2260개) 등으로 확대하는 한편, 정보공개 대상도 기존의 목록에서 원문 등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알맹이는 없었다. 정부가 메르스 관련 병원 정보를 비밀주의에 부치는 사이, 일반 시민들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교환했다. 은폐형 정부의 기조가 △컨트롤타워 부재 △서랍 속 갇힌 재난대응시스템 △괴담 확산을 둘러싼 진영논리 등과 맞물리자 조기 수습의 골든타임을 놓친 것이다. 무능력·무책임·무대응 등 ‘3무(三無)’ 보건당국 스스로 재앙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강창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이날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참여정부에서 발한 사스 사태 땐 고건 당시 국무총리의 지휘 아래 청와대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확전 양상을 조기에 수습했다”며 “지금 메르스 사태의 문제는 정부 철학과 리더십의 문제”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