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 산신도’는 깊은 산골짜기 넓은 반석 위의 산신이 도인에 가까운 수염 난 할아버지의 모습으로 화면 중심에 호랑이를 거느리고 앉아 있는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산신도로, 제작연도는 1856년이다. 19세기 산신도 중 비교적 조성 시기가 빠르고, 화풍과 도상도 우수한 작품에 속해 19세기 불화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로 평가됐다.
조선 후기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계승하고 있는 ‘석조석가여래좌상’은 활석이라는 새로운 불상 재료가 등장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불상의 회칠, 옻칠과 판금 개금이 전통적인 기법으로 정성스럽게 베풀어졌고, 옷 주름 표현이 섬세하며 평면적 기법이 동시에 드러나는 것은 활석제 불상에서 보이는 제작기법상의 특징으로 개항기 이후 불교조각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됐다.
‘대성사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은 전체적인 보존 상태가 대체로 양호하고 간행된 지 비교적 오래된 판본으로, 전해지는 동일 판본이 확인되지 않아 희소가치가 있다. 15세기 한글 연구에 중요한 산문(散文) 자료의 하나로서 자료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정 예고된 문화재는 예고 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7월 개최 예정인 문화재위원회(유형분과위원회)에서 심의 의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