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국 상장사 성장성·수익성, 중국·일본 상장사 보다 낮아”

2015-04-22 11:0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한국의 상장기업들이 중국과 일본 상장기업들에 비해 성장성과 수익성 모두 가장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저성장 국면을 돌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기업이 뛸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중·일 상장기업의 경영성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성장성(매출액 증가율)면에서 아베 정권이 출범한 2013년 이후 일본기업이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반면(2013년 11.5%, 2014년 4.7%), 한국·중국기업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 2013년 –2.6%, 2014년 1.4%, 중국 2013년 8.8%, 2014년 6.1%). 수익성(매출액 영업이익률)면에서는 중국기업이 10% 이상 안정적 수익을 기록한 가운데, 한국기업은 2012년부터 일본기업에 추월당하며 수익성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 즉, 한국은 2012년 5.2% → 2013년 5.0% → 14년 4.8%인데 반해, 일본은 같은 기간 5.8% → 6.8% → 7.2%로 상승했다.

성장성 면에서 일본기업은 2011년, 2012년 3% 이하의 저조한 매출액증가율을 기록하였지만 2013년 아베 정권 출범 이후 엔저로 가격경쟁력을 회복하면서 2013년 11.5%, 2014년 4.7%로 비교적 양호한 성장을 달성했다. 반면, 한국은 일본기업과의 경쟁 심화, 중국 경제성장 둔화로 2013년 마이너스 2.6% 성장에 이어, 2014년에도 1.4% 성장에 그쳤으며 이마저도 금융업을 제외할 경우 1.6% 마이너스 성장했다. 중국의 경우, 2011년까지 20% 이상 매출액 증가율을 달성하였지만 2012년부터 글로벌 경기 둔화, 질적 성장으로의 발전전략 전환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7% 대로 낮아지면서 기업의 매출증가율은 한 자리수로 낮아졌다.

수익성 면에서 중국 상장기업들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2010년 이후 10% 이상 안정적 수익을 유지한 가운데, 2012년부터 한국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은 모두 일본기업에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가하락과 엔화약세에 힘입어 일본기업들이 매출원가 감소, 외화환산이익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과 경상이익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일본기업은 2013년과 2014년 엔저에 따른 채산성 개선을 기업 수익성 회복에 활용하는 경향이 강했으나 향후 제품판매가격 하락을 통해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 한국 기업과의 세계시장점유율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9년 금융위기 시점과 2014년의 성과를 종합 비교해 보면, 한국기업은 성장성(매출액증가율 3.2%p, 비금융업 매출액증가율 -2.1%p)과 수익성(영업이익률 –1.2%p) 모두 악화되었다. 중국기업은 성장속도가 둔화(매출액증가율 4.8%p)되고, 수익성도 정체(영업이익률 0.5%p)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 기업은 성장성(매출액증가율 15.0%p), 수익성(영업이익률 2.2%p)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2014년 한국기업은 대중 수출 감소로 내수업종(금융, 헬스케어,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중심으로 매출성장이 확대된 반면 수출주도 업종(IT, 에너지, 소재, 산업재)은 매출성장이 둔화됐다. 금융위기 이후 한·중·일 상장기업의 업종별 성장성과 수익성을 비교시 한국의 주력 수출산업군에 포함된 업종은 중국의 성장 둔화와 엔저로 일본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기업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2013년 이후 한중일 3국 기업 중 우리기업의 경영성과가 가장 부진한 것은 전기․전자, 자동차 이외 업종의 수출 부진과 뉴 노멀(新常态) 시대로 전환하는 중국 경제 둔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글로벌시장 지배력을 갖춘 기업조차 부진에 빠져 있는 등 우리 경제가 장기적 저성장으로 가는 위험징후가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고 경고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이같은 위기국면을 돌파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정식서명 예정인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연내 국회비준과 발효 △민관합동 동남아·중동·중남미 경제 한류 확산 △기존 수출시장 중심에서 투자지역, 진출방식 다각화를 통한 해외 신시장 창출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대내적으로는 △외국인투자 활성화를 위한 차이나머니 활용 △창조경제 등 혁신을 통한 산업고도화 실현 △규제개혁 등 우리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여건 조성을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