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해외진출지원센터, 한류수출 체계적 지원

2015-04-15 13:4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와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원장 송성각)은 콘텐츠 수출 상담부터 해외마케팅까지 콘텐츠기업의 1:1 맞춤 서비스를 통해 한류콘텐츠의 해외진출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국내 콘텐츠 기업이 해외 진출 시 겪는 주요 애로사항(붙임 3. ‘콘텐츠비즈니스 자문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 참조)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정보 부족’, ‘법률적 문제’, ‘전문 인력 부재’ 등을 꼽고 있는 가운데, 문체부는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송성각) 글로벌콘텐츠센터와 종합지원센터를 ‘콘텐츠 해외진출지원센터’로 통합해 콘텐츠 기업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먼저 해외시장 정보 부족 해소를 위해 중국.미국.일본.유럽 현지 법률전문가, 콘텐츠 기업 및 컨설팅 대표 등 40명의 전문가를 새로 위촉해 정확한 현지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오는 12월까지 콘텐츠 시장 정보, 해외업체 및 바이어 리스트, 해외진출 성공.실패사례와 콘텐츠 장르별 표준계약서 등 콘텐츠 수출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수출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해외진출에 따른 법률적 어려움은 변호사, 변리사, 회계사 등 법률분야 자문위원을 55명(’14년 30명)으로 확대하여 수출계약서 검토와 상표권 출원 전략 및 국가별 조세 법령에 대한 더욱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한다.

  콘텐츠진흥원 중국.미국.일본.유럽 사무소는 기업정보 제공, 기업상담회 개최 등 현지 비즈니스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통해 국내 콘텐츠 기업이 전문 인력 부재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해소시키며 해외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중국 현지에서 비즈니스 협의가 필요한 국내기업을 위해 콘텐츠진흥원 중국사무소 내에 ‘북경 스마트 사무실’을 운영한다. 평일 근무시간에 한해 전화 및 인터넷 시설, 회의공간을 내 사무실처럼 이용할 수 있으며, 현지기업과의 미팅 시 통역지원, 회사 소개 및 프로젝트 번역 등 1:1 맞춤 지원도 실시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콘텐츠 기업이 해외진출 시 겪는 애로사항 해소에 중점을 두고, 중국 등 현지의 생생한 정보 제공과 맞춤형 원스톱 지원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라고 말하며, “경제혁신 3개년 중점과제로 추진 중인 콘텐츠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1566-1114.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