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실크로드 길목' 투루판 地區를 市로 변경한 이유

2015-04-13 11:17
  • 글자크기 설정

신장위구르자치구지도[그래픽=아주경제 임이슬 기자]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중국 실크로드 길목에 위치한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투루판(吐魯番) 지역의 행정단위가 기존 ‘지구(地區)’에서 ‘지급시(地級市)’로 공식 변경됐다. 

장춘셴(張春賢) 신장위구르자치구 당서기가 12일 국무원 비준을 거쳐 투루판 지구의 지급시 변경을 선언했다고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 등이 보도했다. 장 당서기는 "투루판에 사는 60여만 명의 숙원사업이 이뤄졌다"면서 지역 발전에 큰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에 따라 투루판은 신장자치구에서 주요 도시로 승격되며 자치구 수도인 우루무치(烏魯木齊)와 커라마이(克拉瑪依)시와 함께 자치구 내 3번째 지급시가 됐다.

우루무치 동쪽으로 약 184㎞에 위치한 투루판은 중국 신 실크로드 경제권 구상인 일대일로 길목에 위치해 있다. 향후 일대일로 전략이 가속화함에 따라 투루판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번 지급시 변경으로 투루판지구내 기존 현급 시 행정단위였던 투루판 시는 가오창(高昌) 구로 변경됐다. 나머지 현급 행정단위인 산산(鄯善) 현, 퉈커쉰(托克遜) 현은 그대로 유지된다.

중국의 행정구역은 크게 성(省)급, 지(地)급, 현(縣)급, 향(鄕)급 4개의 수직구조로 이뤄져있다.  이중 지구는 지급시와 동급의 지급 행정구역단위다. 하지만 지급시와 달리 지구에는 해당 성급 정부의 파견기관인 ‘지구행서(地區行書)’라는 일종의 행정관공서만 설치된다. 지방의회 격인 인민대표대회도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중국 전국적으로 지구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 1982년 170여개 달했던 지구는 현재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시짱(西藏)자치구, 신장자치구 등 소수민족 자치구에 10여곳 밖에 남아있지 않다.  신장자치구에서 지구가 지급시로 변경된 것은  투루판이 처음이다.  지난해에는 시장자치구 관할 르커쩌(日客則)지구와 창두(昌都)지구가 지급시로 변경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