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정부의 건강보험료 부과 정책이 뒷걸음치고 있다.
한때 백지화 논란을 빚었던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에 대해 소득에 대한 부과는 확대하고 소득 외 부과 요소는 축소·폐지하는 쪽으로 추진 방향을 잡았기 때문이다.
또 "직장가입자의 보수 외 소득과 충분한 소득·재산을 보유한 피부양자에 대한 보험료 부과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직장가입자의 보수 이외 소득이란 직장에서 받은 보수 이 외의 금융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등을 뜻한다.
결국 재산이 많아도 소득이 없으면 건보료를 받지 않고, 그동안 가족 중 직장인 가입자에게만 부과하던 건보료를 더 걷겠다는 것이다.
현재는 직장가입자 중 매달 직장에서 받는 월급 외에 빌딩이 있거나 전문직 자영업자, 대기업 사주 등 별도 종합소득이 연간 7200만원(월 600만원) 이상인 4만여명은 보험료를 추가로 더 내고 있다.
기획단은 기준을 크게 낮춰 보수 이외의 종합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넘는 직장가입자(월 167만원)에게 보험료를 더 부과, 고액 자산 직장인 27만명에게 보험료를 추가로 더 내게 하겠다는 안을 낸 적 있다.
복지부는 "기획단의 건의 내용을 토대로 충분한 의견 수렴과 사회적 합의를 거쳐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모든 가입자의 2015년 부과 자료를 활용해 기획단이 제시한 모형에 대해 정밀하게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2013년 기획단을 꾸려 건보료 개편 방안 논의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기획단 안의 공식 발표를 앞둔 지난 1월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다며 연내 개편 추진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논란이 커지자 연내 재추진하기로 방침을 바꿨다.
복지부는 또 이날 보고에서 사회보장사업 전반에 걸쳐 유사·중복 사업을 정비하고 미래의 사회보장 재정을 예측해 복지 지출의 균형적 발전방향을 마련하는 등 복지 제도를 전반적으로 정비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복지부는 중앙부처의 360개 사회보장사업과 각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보장사업 전반에 대한 실태 조사를 해 상반기에 유사·중복 사업 정비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오는 9월 사회보장제도의 재정 추계를 시행해 이를 토대로 각 제도의 지속가능성, 복지 수준의 적정성을 재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