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경남기업 워크아웃 관련 금감원 특혜 정황 포착

2015-03-26 16:05
  • 글자크기 설정

[사진=경남기업,주식 매매거래 정지..거래소,자본전액잠식 조회공시 요구]



아주경제 주진 기자 =자원외교 비리 연루 의혹으로 검찰수사를 받는 경남기업의 세번째 워크아웃 과정에서 금융감독원이 채권단에 외압을 행사한 정황이 감사원 감사에서 포착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금감원이 지난해 1월 당시 워크아웃 중이던 경남기업의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으로부터 경남기업 실사결과를 보고받는 자리에서 대주주(성완종 전 의원) 의견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신속하게 처리하라고 요구한 사실이 감사원 감사 과정에서 확인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기업은 두 차례 워크아웃을 거쳐 지난 2013년 10월 세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하고 승인받는 과정에 있었다.

당시 실사를 맡은 A회계법인과 신한은행이 대주주 지분의 무상감자를 실시해야 한다고 보고했으나 금감원은 이를 거부한 채 자금지원을 요구하는 성 전 의원측 의견을 받아들이라고 압력을 행사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은 A회계법인 담당 이사를 이례적으로 호출해 면담하면서 대주주와 기업의 입장을 잘 이해해달라는 취지의 의견을 전달했고, 이후 A회계법인은 실사 보고서에서 '무상감자 필요 의견' 문구를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또한 다른 채권단인 B은행 담당자와 C은행 부행장 등에게 '주채권 기관이 아니니 크게 관여하지 말라'며 무상감자 없는 출자전환에 조속히 동의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2월 경남기업은 채권단으로부터 무상감자 없는 1천억원 출자전환과 3천800억원 신규자금 수혈을 포함해 6천300억원대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감사원은 채권은행들의 경남기업 자금지원을 통해 대주주는 50억여원의 차익을 챙기고 채권단은 100억여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금감원 간부들은 감사원 감사에서 성완종 전 의원이 금감원을 통해 압력을 행사했는지, '윗선'의 지시가 있었는지 등의 의혹은 부인한 채 독단적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금융권에서는 금감원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이던 성 전 의원이 금감원을 통해 채권단에 압력을 행사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