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기업을 시작으로 은행권에서 부실기업 리스크가 계속 불거지고 있다. 특히 이들 부실기업은 회생을 위해 채권단 측에 계속 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있어 은행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1분기 실적은 떠안고 있는 부실기업에 따라 갈릴 것이다"고 설명했다.
우선 경남기업 채권단은 오는 26일 경남기업 측이 요청한 추가 출자전환 903억원, 신규자금 1100억원 지원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경남기업 채권기관은 지난 20일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이에 대해 논의했다.
문제는 경남기업 이외에 다른 부실기업들도 계속 자금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0년 채권단과의 자율협약에 들어간 후 5년 동안 6000억원 가량의 지원을 받은 SPP조선은 최근 4850억원의 추가 지원을 요구했다. 성동조선해양 역시 선박 건조자금으로 채권단에서 4200억원 추가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전선의 경우 채권단이 지난 2012년 자율협약을 맺은 후 대출 7000억원을 출자 전환했고, 5200억원을 신규 대출했다. 여기에 지난달에도 1600억원을 추가로 대출해주기로 결정했다.
부실기업이 속출하면서 은행권에는 실적 비상이 걸렸다. 경남기업, 대한전선, SPP조선, 성동조선 등 4개 부실기업에 이달 내 지원하거나 지원을 결정해야 하는 금액만 1조255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이들 기업에 대해 추가로 지원한다고 해도 회생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데다 부실 위험에 따라 충당금을 쌓아야 하기 때문에 실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앞서 은행들은 지난해에도 동부건설, 대한전선, 모뉴엘 등 부실기업 영향으로 1조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은 바 있다. 실제로 KB금융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203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4.5% 감소했다. 신한은행은 순이익이 같은 기간 4301억원에서 1833억원으로 57.4% 감소했다. 우리은행의 경우 작년 4분기 1630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부실 기업을 빠르게 처리하고 싶어도 정부의 눈치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도 없다고 은행들은 하소연한다. 정부가 대대적으로 경기 부양 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 부도가 잇따라 발생하면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국민은행이 STX조선해양 측에 320억원의 보증채무 이행을 요구하며 강제집행을 예고하자 창원상공회의소와 안상수 창원시장이 은행 측에 상환유예를 요구하기도 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살아날 지도 모르는 기업에 무작정 지원을 계속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지역경제나 일자리 문제도 고려해야 하지만 은행의 건전성 유지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