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서울 자치구들이 자체 홈페이지 내 상당수 정보 검색을 어렵도록 차단시켜 시민들의 이용에 불편이 크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정부 3.0'을 표방하며 공공정보의 대대적 개방·공유를 강조하는 것과 달리 서울시 자치구에서 뒷걸음질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웹 개방성이란 웹에 공개된 모든 정보는 아무런 제한없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청이 '검색엔진 배제선언'이란 방법으로 검색엔진의 접근을 차단한 것은 잘못됐다는 게 연구소 측 설명이다.
행정자치부에서는 2012년과 2014년에 '모든 중앙부처와 지자체는 물론 소속 및 산하기관을 포함해 모든 대국민 서비스 웹사이트는 웹 개방성을 준수하라'고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25개 서울의 구청 중 강동·관악·동대문구 등 3개 구청이 검색엔진의 정보 수집을 전면 허용했다.
이에 반해 강남·강북·강서·광진·구로·노원·도봉·서대문·성동·성북·양천·영등포·용산·종로·중랑·중구청 등의 16개 웹사이트는 검색엔진 접근을 부분 차단시켰다.
특히 금천·동작·마포·서초·송파·은평구 등 6개 자치구는 검색엔진이 해당 구청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을 전면 차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분석은 웹 개방성 평가·인증기관인 숙명여대 웹발전연구소가 지난 1~18일 실시했다. 해당 연구소는 2012년에 국내 최초로 웹개방성지수(Web Openness Index: WOI) 1.0을 개발해 선보였다.
평가를 총괄한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 겸 웹발전연구소 대표는 "행정·공공기관에서 제공 중인 정보는 높은 사회·경제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산이므로 합리적인 공개가 필요하다"며 "보안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고정관념으로 인해 정보 접근을 차단시키는 건 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