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포스코 비자금 의혹' 전·현직 경영진 소환일정 조율 중…'포스코 전 경영진 비리 의혹' 수사 겨냥(종합)

2015-03-16 13:51
  • 글자크기 설정

▲16일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의혹에 연루된 포스코 측 전·현직 경영진을 대상으로 소환 조사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사진=남궁진웅 기자]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의 칼날이 포스코 전 경영진의 비리 의혹을 규명하는 쪽으로 향하고 있는 양상이다. 비자금 조성 의혹뿐 아니라 포스코그룹 전반의 부실경영에 따른 책임을 가려보겠다는 게 수사팀의 로드맵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포스코 비자금 의혹' 전·현직 경영진 소환일정 조율중

16일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의혹에 연루된 포스코 측 전·현직 경영진을 대상으로 소환 조사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13일 포스코건설 압수수색 과정에서 확보한 회계장부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면밀히 분석하는 등 힘을 쏟고 있다.

압수물에는 베트남 지역 건설사업을 책임지던 포스코건설 임직원들이 2009년부터 2012년까지 하청업체에 줄 대금을 부풀리는 방법으로 1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점을 자체 적발한 회사 내부 감사자료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포스코건설 법인 및 임직원들의 금융계좌를 추적하면서 문제의 자금이 흘러간 경로를 파악 중이다.

검찰은 조만간 의혹 관련자들을 조사실로 불러들일 방침이다.

포스코건설 동남아사업단장을 지낸 박모 상무 등 재무나 해외사업 실무를 책임지면서 비자금 의혹에 연루된 것으로 지목된 인물들이 우선 소환 대상이다.

◆포스코 그룹 '부실경영' 수사 겨냥

검찰은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경위를 확인하기 위해 정준양 전 회장을 비롯해 당시 비자금 조성에 관여한 전·현직 임직원 10여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린 상태다. 이번 수사가 포스코 건설에 국한되지 않고 포스코 그룹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방증이다.

검찰은 이번 수사에서 해외 비자금이 포스코 최고 경영진에 흘러들어갔는지 여부에 집중하고 있다. 200억여원의 비자금 조성에 상당 부분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포스코건설의 모 협력업체 역시 주요 수사 대상이다.

또 현재 포스코계열사들은 정 전 회장 시절 이어진 각종 M&A와 관련 크고 작은 의혹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정 전 회장은 2008년 12월 포스코건설 사장으로 발령난 지 3개월 만인 2009년 2월 포스코회장으로 선임돼 5년 동안 포스코그룹 경영을 총괄했다. 포스코건설이 비자금을 조성했던 시기와 상당 부분이 겹친다.

정 전 회장 재임 기간 포스코 계열사가 41곳 늘었지만,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 18곳이 자본잠식되며 경영이 악화한 점도 검찰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이다. 일부 경영난이 의심되는 부실 업체들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특혜나 유착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2010년 3월 재무 상태가 부실했던 성진지오텍의 지분 40.4%를 인수해 2013년 7월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한 사례는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실세가 개입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여기에 인도네시아·브라질 등 해외 일관제철소 사업에서 당시 정권 실세들과 친했던 업체들이 거액의 하도급을 따낸 부분 역시 검찰이 주목하는 부분이다. 국세청이 2013년 포스코P&S에 대해 1300억원대의 탈세 의혹으로 검찰에 고발한 사건에 대해서도 수사를 앞두고 있다.

검찰은 일단 포스코건설 관계자들을 불러 비자금의 정확한 규모와 사용처 등을 추궁하면서 수사 대상자들의 추가 소환 일정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 민영화 이후로 정치권 영향 배제할 수 없었던 '포스코'

포스코가 사정의 표적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0년 민영화된 포스코는 뚜렷한 주인이 없는 탓에 경영진 선임과정에서 정치권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었다. 이에 정권이 바뀔 때마다 사정정국의 타깃이 됐고 포스코는 임기를 제대로 채운 회장이 드물 정도로 외풍에 흔들리는 수난을 겪어왔다.

먼저 고 박태준 회장은 1968년 포항제철 사장을 맡아 '제철보국'(製鐵報國)의 신념으로 불모지였던 철강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1993년 2월 문민정부 출범과 함께 포철 명예회장직을 박탈당하고 수뢰 및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되는 수난을 겪었다.

박 회장의 수난은 1992년 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내각제'의 대통령선거 공약화를 요구하다 김영삼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이어 황경로 전 포철 회장도 1993년 6월 협력업체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고 1994년 3월 포스코 회장직에 오른 김만제 전 회장은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직후인 1998년 3월 자진 사임했다.

김대중정부 출범 한 달 뒤인 1998년 3월 취임한 유상부 회장은 누무현 정부 출범 한 달 만인 2003년 3월 자진사퇴 형식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어 이구택 회장은 연임에 성공했으나 이명박정부가 들어선지 1년이 지난 2009년 초 세무조사 무마 청탁설이 나오면서 중도 하차했다.

정준양 회장도 일단 연임에 성공했으나 2013년 11월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시점에서 사퇴했다. 당시 국세청이 포스코에 대한 전방위 세무조사를 벌였다.

지난해 3월 취임한 권오준 현 회장도 초조하기는 마찬가지다. 이처럼 포스코는 정권 교체 때마다 수난을 겪어왔지만 일각에서는 반대로 포스코도 정권교체 때마다 정치권에 줄을 대면서 줄타기를 해온 측면도 있다는 분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