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기업이 임금동결 및 최저임금 인상을 두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가운데 기업을 대표하는 전경련이 우회적으로 정부에 반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10일 한국경제연구원은 2006~2013년 사이 경상소득은 31.6% 증가했지만 소비지출은 22.0% 증가에 그쳤다는 분석을 내놨다.
같은 기간 가계소득은 30.6% 증가했고, 가계소득 중 사업소득 증가율은 19.2%였다.
소비증가율이 낮은 부문은 주류 및 담배(-1.6%) 통신(8.9%) 교육(9.3%) 등이고 높은 부문은 보건(38.1%)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34.3%) 주거 및 수도광열(31.2%) 등이다.
세부 부문 중 증가율이 높은 대표적인 부문은 연금보험지출(127.0%)이다.
한경연은 가계의 평균 소비성향이 낮아진 것에 대해 "비소비지출 및 기타지출 증가로 인해 전체 지출 중 소비지출에 쓸 수 있는 소득이 줄어든 결과"라고 분석했다.
비소비지출은 사회보장 및 연금 관련 지출 등이 포함되고, 이 두 부문은 2006~2013년 사이 36.9% 증가했다.
특히 사회보장(76.5%) 이자비용(55.1%) 연금(40.2%) 등이 크게 증가했다.
더불어 저축 및 부채감소를 위한 기타지출 증가도 민간소비지출 부진의 원인이 됐다.
국내 소비는 줄어든 반면 해외 지출은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2009~2013년 사이 해외직구 지출은 190.0% 급증했다. 2009년 911억원에 불과했던 해외직구에 따른 지출 액수는 2013년 5881억원으로 증가했다.
2007~2014년 사이 거주자 카드 해외사용실적은 91.4% 늘었다.
한경연 관계자는 "내수 확대를 위한 국내 소비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고소득층 국내 소비에 대한 인식 개선과 수입 유통구조 개선도 요구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