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新경협시대 3] 중국 노리는 국내 ICT 산업, 협력과 협의가 성공 ‘키워드’

2015-02-04 00:00
  • 글자크기 설정

[이미지제공-아이클릭아트]


아주경제 정광연 기자 =한‧중 新경협시대를 맞아 국내 ICT 산업의 중국 시장 진출은 미래부를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 중이다.

3일 업계 관계자들은 지난해 7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뤄진 미래부와 광전총국간 방송 및 디지털콘텐츠 교류협력 MOU 체결의 후속조치인 ‘펑요우 프로젝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중국의 수입억제 정책 강화로 완성품 수출이 한계에 직면함에 따라 양국의 공동제작 등 새로운 수익구조의 창출이 요구되는데 무엇보다 콘텐츠 사업에서는 수입 허가 및 대외 합작 승인, 방송 심의‧편성 등을 담당하는 광전총국과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미래부는 한·중 정부 및 기업간 협력기반 구축으로 지난해 7월 한·중 펑요우 콘텐츠 포럼을 개최했으며 오는 4월에는 북경영화제에서 ‘펑요우 정책협의회 및 포럼’을 열어 광전총국과 추가 협력과제 협의한다. 이 자리에서는 한․중 기업간 네트워킹 포럼이 개최되며 북경영화제 마켓에 한국관 부스도 설치된다. 

또한 CCTV와 KBS가 ‘임진왜란(5부작/20억원)’을, CCTV와 MBC가 ‘기후의 반란(4부작/10억원)’을 공동 제작하며 미래부가 총 12억원을 투자한다. 해당 방송다큐는 2016년 3월 한중 동시방영 예정이다.

중국내 K-POP 홀로그램 공연장 설치 추진은 KT와 디스트릭트 등 민간기업 주도로 추진하되, 미래부는 콘텐츠 제작 및 네트워킹 지원 등을 맡는다. 

하이난과 북경 등 2개소 이상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미 헝디엔그룹과 KT는 절강성 ‘만화원’에 IoT와 ICT 융합솔루션을 도입한 ‘스마트 테마파크’ 공동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중국 진출을 위한 중소기업들의 움직임도 구체화되고 있다.

지난 2일 중소기업청은 5000억 규모의 중국 전용 펀드를 조성해 국내 중소 및 벤처기업의 원활한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자양분으로 삼기로 했으며 무엇보다 상대적으로 경쟁 우위에 있는 소비재, 콘텐츠‧소프트웨어 등으로 펀드의 투자분야를 특화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게임 산업에서는 중국내 최대 게임사인 텐센트로부터 5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넷마블게임즈를 필두로 중국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모바일게임의 경우 글로벌 게임 플랫폼인 구글 플레이 스토어가 서비스되지 않는 중국 특성에 따라 텐센트, 360, 바이두 등 현지 퍼블리셔들과의 긴밀한 협조가 가장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업계에서는 올해 1분기 이후 국내 모바일게임의 중국 수익이 구체화 될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업계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 및 산업 육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비한 충분한 협의와 협력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