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통일대박론이 통일논의의 확대는 가져왔으나 국민들은 여전히 통일을 부담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남북관계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한국 정부가 2013년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제기하고 ‘나진-하산 프로젝트’ 등을 추진한 바 있으나 남북관계의 첫 단추를 꿰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진단하고, 남북교류 단절은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 심화로 나타나 우리의 정책적 지렛대만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위원은 바람직한 대북정책으로 단기적으로 실현가능하고, 중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해야 한다며, 정권의 변화와 무관하게 일관된 정책 기조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최 연구위원은 “접경지역 지자체이자 대한민국 최대의 지자체인 경기도는 다가오는 통일시대를 적극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임진강 수계 공동이용 및 수해 방지 등 경기도가 접경지역 이슈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통일경제특구, DMZ세계생태평화공원, 경원선 연결 등 접경지역에서 진행되는 남북교류 관련 주요 국책 사업에 경기도가 제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자"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