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야채가 아니라 채소입니다

2015-01-20 14:05
  • 글자크기 설정

 

언제부터 인가 우리주변에는 채소(菜蔬)보다는 야채(野菜)라는 말에 더 익숙해져 있는 느낌이다. 방송에서도 ‘야채’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고, 동네마다 채소가게는 없지만 야채가게는 있으며 마트에 채소코너는 없지만 야채코너는 있다. 식당에서 식사 중 “채소 좀 더 주세요”라는 말 보다 “야채 좀 더 주세요”라는 말은 쉽게 한다. 야채 이름을 넣은 과자류, 유제품은 있지만 채소 이름은 없다. 하지만 ‘쌈 채소’라고 하지 ‘쌈 야채’라고는 안한다. 당근, 무를 ‘뿌리채소’라고 하지 ‘뿌리야채’라고는 하지 않는다. 배추를 ‘잎배추’라 표현하지 ‘잎 야채’라고는 안한다.

그렇다면 채소와 야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대한민국의 모든 농업관련 전문서적에는 ‘채소’는 있지만 ‘야채’는 없다. 채소 품종, 채소재배, 채소병해충 등등. 공직기관에서도 ‘채소수급조절’ ‘채소류 통계’ 등의 자료는 있지만 ‘야채수급 조절’ ‘야채류 통계’라는 자료는 이제껏 없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채소와 야채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고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즉 식용이 가능한 초본성 재배 식물의 총칭으로 엽채류, 경채류, 근채류 등으로 구분한다. 하지만 야채는 야생의 상태로 자라는 ‘들나물’을 의미하지만 ‘채소’는 밭에서 인위적으로 기르고 관리한 식물을 일컫는 말이다.

야채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사용되는 이유는 일본식 표현을 그대로 여과 없이 받아 드렸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에서도 사람이 인위적으로 기른 식물은 ‘소사이’(일본어: 蔬菜 そさい; 소채)라 했고, 야생의 나물을 일컫는 말로 ‘야사이’(일본어: 野菜 やさい; 야채)라고 했다. 그러나 점차 재배 기술이 발달하여 야생에서 먹거리를 직접 채취할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그에 따라서 단어 ‘야채’와 ‘소채’를 혼용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획수가 많고, 쓰기가 힘들다는 이유로 ‘소’(蔬)를 상용한자를 지정할 때에 제외하면서, 문서에 ‘소사이’를 ‘야사이’로 대체하여 표기하는 행정조치를 취하였다. 때문에 일본에서는 야채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말이다.

우리나라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야채는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 채소와 같은 뜻, 채소는 밭에서 기르는 농작물로 설명하고 있으며 동의어로 남새, 야채라고 하고 있다. 하지만 야채보다는 채소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고 산과 들에서 재배하거나 채취한 나물은 ‘산채(山菜)라고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야채라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또한 채소라는 말도 한자어기 때문에 진정한 우리말을 사용한다면 순수우리말 ‘남새’, ‘푸성귀’라는 말을 쓰는 것도 바람직하다. 남새는 밭이나 들에서 재배한 나물을 뜻하고 반대로 푸새라는 말이 있었는데 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채소나 푸성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각한다./제주도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 농학박사 훙순영(사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