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소비재시장 개척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내수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일 발표한 '한국의 대중수출 장기둔화에 대비해야' 보고서에서 "2012년부터 누려온 중·일 관계 악화의 반사이익이 소멸하고 있다"며 "그동안 누적된 엔저 영향이 대중수출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지난해 한국과 일본의 대중수출 100대 품목 가운데 54개 품목이 중복될 정도로 중국시장에서 양국의 경쟁은 치열한 편이다. 일본과의 수출 중복 품목이 한국의 대중수출 총액에서 75.1%를 차지한다.
지 연구원은 올해 들어 이런 반사이익이 점차 사라지고 있어 대중 수출이 둔화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내수를 키우겠다는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에 대응해 중국 내수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한국은 주요 경쟁국에 비해 중국 내수시장 활용능력이 크게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각국의 대중 수출 가운데 내수시장에서 최종 소비되는 제품인 '일반무역' 비중을 보면 2012년 기준으로 독일 77.8%, 미국 67.7%, 일본 49.9%인데 한국은 33.7%에 불과하다.
2006년부터 6년간 독일(12.1% 포인트), 미국(19.9% 포인트), 일본(13.4% 포인트)의 일반무역 비중이 10% 포인트 이상 높아질 동안 한국은 3.9% 포인트 증가에 그쳤다.
한국의 대중 수출은 중국이 수출산업에 사용하는 중간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앞으로 중국 내수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더라도 이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지 연구원은 "소비재시장 개척에는 한계가 있으니 자본재와 중간재 분야에서 내수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며 "현재 진행 중인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서비스산업 진출 등 새로운 중국시장 활용 모델을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