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제주시 연동 바오젠거리를 중심으로 한라산, 성산일출봉, 사려니 숲길, 용두암, 중문관광단지 등 거리마다 산과 바다로 마치 제주도가 중국을 연상케 했다.
하지만 붐비는 중국인 관광객에 비해 ‘통역안내사(가이드)’는 턱없이 부족, 이에 따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제주여행업계에 따르면 자격을 갖춘, 즉 유자격 가이드는 도내 612명. 이중 중국인 관광객을 안내하는 가이드는 250여명 밖에 안된다.
계속 늘고 있는 중국인관광객 수를 감안, 제주도가 추정하는 적정가이드 수가 1300~1500여명으로 현재 도내 가이드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체 관광 인구의 1/3, 제주는 1/5 수준이었다. 때문에 한국어와 중국어를 적절히 구사할 수 있는 중국통역 가이드의 역할은 더욱 더 중요해졌다. 도가 지금껏 무자격 가이드 확산에 눈 감고 있었다는 비난이 일고 있는 이유다.
특히 도 가이드 정책은 암행 합동단속에만 혈안, 근본 대책을 어쩔수 없는 ‘탓’으로만 돌리고 있다. “단속에 걸리지는 말라, 걸리면 단속한다”는 식이다.
이러다보니 무자격 가이드 단속에 따른 폐해도 나타나고 있다.
연동 바오젠 거리 음식점 업주 오모씨(45)는 “간혹 음식을 앞에 두고 단속반과 여행사 직원, 가이드, 중국인 관광객들과의 실랑이가 1시간여를 넘길때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럴 경우 정작 피해를 보는 쪽은 우리 식당과 여행사, 여행 시간을 실랑이로 뺏긴 중국인 관광객에게 고스란히 돌아간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또 중국인 여행사 직원 A씨도 “최근 제주공항내에서 단속반원들이 들이닥쳐 중국인 관광객들 일정에 크게 차질을 빚은 바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도내 11개 업체가 단속에 걸렸다. 이는 전국 22개 업체가 비교해 절반 수준이다. 가이드는 절대 부족한 상황에서 단속만 이뤄질 뿐 대안도 없는 상황이다.
반면 부산이나 인천은 계도위주로 단속을 하거나 일정 기간 유예를 해주고 있다. 무차별 단속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판단이다.
관광통역안내사 시험은 국가 자격증 시험이다. 문화관광체육부가 한국산업인력공단에 위탁, 상 하반기 각각 1차례씩 실시된다. 합격을 하려면 국사, 관광자원해설, 관광법규, 관광학개론은 물론 외국어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또 구술면접도 치러야 한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1000명이 배출됐다. 올해도 약 2500~3000명이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중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은 서울과 부산 등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일부는 자격증만 갖춘 채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가이드란 직업의 특성상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게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여전히 가이드 공급에 열악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인 전담 여행사들은 숫자가 적은 가이드 확보전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제주에서 유자격 가이드 구하기는 갈수록 녹록지 않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12년 도는 자체 선발시험을 통해 가이드를 배출하려 했다. 하지만 가이드단체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결국 무산되기도 했다.
여행사측이 3박4일·30~40만원대 무리한 저가패기지관광의 출혈을 메꾸기 위해 무자격 가이드를 선호하는 것.
당시 가이드단체는 “하루 일당을 지급해야 하는 유자격자 대신 따로 일당을 지급하지 않고 쇼핑 수수료로 때우는 무자격자를 선호한다”고 관광 부조리의 실태를 알린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