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세기의 라이벌 삼성과 애플 경쟁에서 스마트폰은 전초전일 뿐이었다. 스마트폰은 기본,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생활영역을 포함한 사물인터넷 시장에서 제대로 맞붙는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에 응용 가능한 단말‧가전 등 폭넓은 디바이스를 다루는 삼성이 유리하지만, 애플은 독자 OS(운영체제)를 바탕으로 한 소프트웨어 면에서 강자의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가 생성‧수집‧공유‧활용되는 시장으로 스마트폰은 그 중 일부분에 불과하다. 스마트폰을 양분해온 삼성과 애플은 이러한 사물인터넷으로 보폭을 넓혀 궁극적 미래 IT시장을 선점하려는 경쟁을 예고해왔다.
삼성전자는 부품, 디바이스, 솔루션 등 사물인터넷 전방위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세계 1위 스마트폰을 비롯해 웨어러블 스마트워치, TV, 백색가전 등 디바이스 경쟁력은 사물인터넷에서도 위력을 발휘할 전망이다.
그도 그럴 것이 사물인터넷이 본격화되려면 우선적으로 디바이스 보급이 이뤄져야 한다. 실제로 사물인터넷은 디바이스 부문의 성장이 가장 빠르다. 2013년 기준 칩셋, 모듈, 단말기 시장은 1888억달러로 전체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 2031억달러의 92%를 차지했다.(마키나 리서치 조사)
또한 사물인터넷 시장이 커질수록 관련 데이터 양이 늘어나 전송속도가 중요하다. 이에 삼성전자는 이미 5세대(5G) 네트워크를 개발해 테스트베드를 완성하고 관련 기술 특허를 주도하고 있다.
여러 면에서 삼성이 강력하지만 소프트웨어 분야에선 애플을 두고 방심할 수 없다. 애플은 모션 데이터를 수집해 연산을 할 수 있는 M7 코프로세서를 지난해 9월 공개했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와 피트니스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애플은 블루투스 통신 기반 아이비콘(iBeacon)을 발표했다. 아이비콘은 저비용 송신기로 애플 독자 OS인 iOS 디바이스 유저를 인식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한다. 사업자는 광고와 자동결제 등에 아이비콘을 활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도 아이비콘과 유사한 LTE D2D(기기간직접통신) 기술 특허를 확보했지만 아직 이 분야는 시장이 열리지 않은 걸음마 단계이다.
삼성전자가 안드로이드를 쓰는 LG전자, 소니, ZTE 등 다른 다수 경쟁사들과 경쟁해야 하는 반면, 애플은 iOS에 대한 단독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어 유리하다. 물론, 이러한 불리함을 극복하고자 삼성전자도 자체 OS인 타이젠을 개발하고 있다. 타이젠은 삼성기어2 등 웨어러블에 적용됐고 조만간 스마트폰에도 탑재돼 삼성의 대표적인 OS 플랫폼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원표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 사장은 “삼성 내 여러 제품의 공통된 OS 플랫폼으로 타이젠이 후보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LIG투자증권 김기영 연구원은 “애플은 iOS를 통한 (사물인터넷 관련)추가수익 모델 확보와 신규사업 진출이 용이하다”며 “삼성전자는 타이젠을 통해 사물인터넷 시장에서는 단순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벗어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