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맞춤형 억제전략' 올해 한미연합훈련에 첫 적용

2014-02-06 10:38
  • 글자크기 설정

전작권 연기시기 연내 합의…전투지원 민간인 6천여명 고용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WMD) 위협에 대응해 한미가 공동으로 마련한 '맞춤형 억제전략'이 올해 한미연합훈련에 처음으로 적용된다.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연기 시기도 연내에 합의되고 군 마트 판매원 등 전투근무 지원분야에 민간인 6000여명이 직·간접적으로 고용된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6일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14년 국방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김 장관은 업무보고를 통해 "평화통일은 튼튼한 안보기반에서만 가능하다"며 북한 도발억제를 위한 확고한 국방태세 확립과 미래지향적 자주국방역량 강화, 국방경영 혁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국방부는 우선 북한의 핵과 WMD 위협에 대응해 지난해 한미가 공동으로 마련한 '맞춤형 억제전략'을 올해 실시하는 키 리졸브(KR) 연습과 독수리(FE)훈련, 을지프리덤가디언(UFG)에 처음 적용하기로 했다.

이 억제전략은 북한 지도부의 특성과 핵·WMD 능력 등을 고려해 전·평시 북한이 핵과 WMD 사용을 위협하는 단계에서부터 직접 사용하는 단계까지를 포함한 대응 방안이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한미 연합훈련에 적용하는 북핵 위협 시나리오는 주요 핵위기 상황을 바탕으로 진행된다"며 "북한이 핵과 WMD를 사용하거나 추가로 사용하는 상황, 외교적 억제 노력에도 핵과 WMD를 강압적으로 사용하는 상황 등을 상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한미는 연내에 '맞춤형 억제전략의 이행 가이드라인'을 마련키로 했다"며 "가이드라인에는 어떤 상황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떠한 억제 수단과 방법으로 대응할 것인지를 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전작권 연기 시기는 연내 합의를 목표로 협의할 계획이며 북한 도발 억제를 위해 한국군과 주한미군의 정찰기 등 연합 감시자산을 통합운용해 조기경보체제를 확립할 것이라고 김 장관은 보고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탐지를 위해 2020년대 전반기에 영상과 신호정보를 동시 수집할 수 있는 군 정찰위성 5기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 위성은 북한지역을 2시간마다 정찰할 수 있도록 개발된다.

이와 함께 북한 핵과 WMD를 대기권 밖에서도 탐지할 수 있도록 군사적 목적을 최우선 고려해 우주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우주개발진흥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개정안은 국방부 주도로 국방우주력 발전을 위한 법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이밖에 화생방어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한미 생물방어연습을 연 1회 실시하겠다고 보고했다. 올해는 8월에 양국 군과 일부 정부기관이 참여해 진행된다.

아울러 국방부는 전투근무지원 분야에 근무하는 병력을 민간 인력으로 대체해 6000여명의 민간인 고용효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민간 인력은 군 마트 판매와 군 훈련장 및 군 복지회관 관리, 교육훈련 전문 평가관 등 직접고용 3600여명, 군 시설관리 운용 등 간접고용 2400여명 등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