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돌 한·미동맹 '포괄적 전략동맹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업그레이드'
양 정상은 정상회담 직후 한·미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을 채택하고, 한·미동맹을 포괄적 전략동맹에서 외교·안보는 물론, 기후환경, 원전 등을 아우르는 글로벌 파트너십으로 업그레이드 한다는 데 합의했다.
이번 공동선언은 지난 2009년 양국간 발표된 '동맹미래비전'을 뛰어넘어 향후 수십년을 내다보는 양국관계 발전방향에 대한 핵심 요소들이 포함됐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양 정상은 한국과 미국이 각각 주도가 돼 추진하거나 추진 중인 '서울프로세스'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A)의 참여에 대해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서울프로세스' 대북 해법
박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재확인하고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미국의 적극적인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주력했다.
양국 모두 대화로 북한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기본입장에는 견해차가 없는 만큼 북한과 대화의 물꼬를 어떻게 틀 것이냐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는 박 대통령의 한반도 및 동북아 다자협력구상인 '서울프로세스'와도 연결된다.
서울프로세스는 박 대통령이 가다듬어온 동북아국가 간 다자협력방안으로, 한국을 비롯해 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일본 등 역내 국가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기 쉬운 비정치적 분야에서 서로 신뢰를 쌓은 뒤 이를 바탕으로 정치분야로 협력의 영역을 넓혀가자는 것이다.
서울프로세스는 북한에도 문을 열어놓은 안보 제안으로, 핵과 같은 경직된 주제에 얽매여 북한을 자극하지 않음으로써 북한이 자발적으로 대화의 테이블로 나온다면 한국과 미국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국제적 대화의 틀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과 미국은 북한에 대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에 입각한 평화통일을 추진한다는 점을 명확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앞서 뉴욕을 방문하는 동안 북한의 도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대북 메시지를 던졌다.
박 대통령은 6일 뉴욕에서 가진 미국 CBS방송과의 회견을 통해 "북한에서는 핵도 보유하면서 경제도 발전시키겠다는 병진노선을 걸으려 하는데 그것은 사실 양립될 수 없는 불가능한 목표"라고 지적했다.
또 만일 김정은 북한 국방위 제1위원장을 만난다면 "북한은 변해야 된다. 그것만이 북한이 살 길이고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연평도 도발 당시와 같은 소규모 공격이 재발한다면 군사적 대응을 취하겠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반드시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주한미군 방위비·한미원자력협정 개정
양국은 지난달 원자력협정 개정협상을 벌여 협정 만료시한을 2년 더 연장하되 우라늄 농축 문제를 포함한 주요 쟁점에 대해 분기별로 협의한 상태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그동안 한·미원자력협정이 호혜적·선진적으로 개정돼야 한다는 입장을 가져왔던 만큼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이 같은 입장을 오바마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양 정상은 미국의 비확산 정책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한민국의 평화적 핵 이용권을 보장하는 쪽으로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분야에서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대해 '굳건한 한·미동맹' 유지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원칙을 확인하고, 이런 원칙 아래에서 양국 입장의 최대공약수를 찾아내도록 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8년 타결한 방위비 분담협정(SMA)은 올해 말로 종료될 예정인데, 미국 측은 우리와 50%씩 부담해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다.
양국은 이달 중 방위비 분담률을 조율하기 위한 첫 고위급 회담을 개최키로 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