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2/07/11/20120711000305_0.jpg)
아주경제 양종곤 기자= 최근 모 증권사 증권 담당 연구원과 담소를 나누다가 흥미로운 얘기를 들었다.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증권사 리서치센터가 의도적으로 상대 증권사에 불리한 분석을 내놓는다는 의혹의 기사가 주제꺼리였다.
그 연구원은 “이번 기사는 사실이 아닙니다. 최근 대부분 증권사들이 실적 부진으로 증권사 목표주가를 낮추고 있는 상황이지 않습니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하지만 지난해 자문형랩 수수료 인하 여부를 두고 맞선 두 증권사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라고 귀띔했다.
'소문'이 사실인지 확인해 본 결과 지난해 5월께 삼성증권이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투자의견을 ‘홀드’로 유지한 것은 맞다. 하지만 충분히 납득할만한 논리였다. 당시 보고서에서는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펀드수수료를 감소를 만회하지 못하는 랩 수수료가 우려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랩 수수료를 더 낮춘다면 미래에셋증권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는 일종의 '조언'이었다.
다른 연구원 역시 “나라도 삼성증권처럼 보고서를 냈을 것”이라며 “하지만 당시 시장에서 랩 수수료를 두고 두 회사가 경쟁하는 상황에서 그 부분을 언급하는 점은 이례적인 일인 것 같다”고 씁쓸해했다.
최근 증권업계는 최악의 부진을 겪고 있다. 순위 싸움과 외형 불리기에 급급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믿고 투자를 맡길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리서치센터가 의도는 아니었을 지라도 당사 ‘우군’ 역할을 한 것은 뒷맛이 개운치 않다.
그리고 미래에셋증권에는 증권업종 애널리스트가 없다. 만일 있었다면 그는 어떤 보고서를 낼 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