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6자회담 재개와 관련해 "선결조건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관련국들의 대화가 재개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북한이 우라늄 농축프로그램(UEP) 중단 등 비핵화 사전조치를 수용해야 회담 재개도 가능하다는 그동안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반면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6자회담이 재개될 수 있는 여건을 관련 당사국들이 협력해서 만들어가자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발언은 포인트가 '북한의 행동'보다는 '관련국의 협조'에 맞춰졌다는 점에서 이 대통령의 발언과는 결이 다른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의 이런 태도는 한국뿐 아니라 혈맹관계로 전략적인 중요성이 큰 북한을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김 위원장 사망 전에도 '무조건적인 6자회담 재개'를 주장하면서 북한을 두둔했다.
이런 맥락에서 외교가 일각에서는 6자회담 재개 방법과 수순을 놓고 '한·미·일 대(對) 북·중·러'라는 과거의 대립구도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정부 내에서는 중국이 과거와 달리 일방적으로 북한 입장만을 두둔하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10일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여건이라는 것은 결국 비핵화 사전조치"라면서 "그런 면에서 중국도 우리 입장을 많이 수용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일본과 일본인 납치문제와 관련해 최근 비밀접촉을 가졌다는 외신 보도를 긍정적인 신호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윤덕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북한이 일본과 접촉한 것은 취약한 김정은의 통치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같은 이유로 북한은 조만간 북·미대화에도 다시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편 우리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2∼13일께 서울에서 일본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만나 6자회담 재개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